전체기사

2024.06.14 (금)

  • 구름많음동두천 31.1℃
  • 구름많음강릉 26.9℃
  • 구름많음서울 32.6℃
  • 구름많음대전 31.3℃
  • 구름많음대구 33.6℃
  • 구름조금울산 28.8℃
  • 구름많음광주 32.3℃
  • 구름많음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31.0℃
  • 구름많음제주 30.9℃
  • 구름많음강화 26.1℃
  • 구름많음보은 30.8℃
  • 구름많음금산 31.1℃
  • 구름많음강진군 29.8℃
  • 구름많음경주시 33.3℃
  • 구름많음거제 28.7℃
기상청 제공

'시사뉴스'의 전체기사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우원식 의장, 광주시장 예방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위한 개헌 추진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14일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을 만나 5·18 민주화 운동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개헌 추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강 시장 예방을 받았다. 강 시장은 우 의장에게 5·18 민주화 운동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위한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구성 건의서를 건넸다. 우 의장은 "22대 국회에서 개헌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대가 매우 높은 것 같다"며 "이 자리에서 강 시장이 국회 개헌특위 구성 건의서를 가져왔는데 22대 국회에서 개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조속히 시작돼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5·18의 헌법 전문 수록 문제는 사실상 여야가 합의하고 있는 내용이다. 우선 논의하고 매듭지을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윤석열 대통령도 후보 시절 필요하다고 했고 국민의힘도 지난 총선에서 공약으로 내세웠다"며 "민주당은 논의를 공식적으로 제안한 사항"이라고도 설명했다. 이에 강 시장은 "개헌 문제는 모두가 동의하는 문제지 정치적 이해관계 등 때문에 추진이 잘 안 되고 있다"며 "올해 제헌절을 기점으로 개헌을 통해 5·18 정신이 더이상 왜곡, 폄훼되지 않도록


사회

더보기
호산대, 방사선과 인체의 기초이해 해부학 실습 프로그램 진행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방사선과는 2024년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학과별 전공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5월 21일~ 23일 서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가톨릭응용해부연구소에서 “인체의 기초이해 해부학 실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4일 호산대에 따르면 방사선과 2학년 재학생(15명)들은 해부학 실습을 통해 해부학적 기초지식 습득과 인체 기관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및 순환계통·호흡계통·소화계통·비뇨계통·생식계통에 대한 표본을 세부적으로 관찰하는 시간도 가졌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사선과 2학년 윤다미 학회장은 “생명의 존엄성과 생명윤리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고, 학교에서 배웠던 해부학 이론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어서, 전공심화 교과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호산대 방사선과 학과장 곽병준 교수는“호산대 방사선과는 교육부 혁신지원사업 기반으로 매년 카데바(Cadaver) 해부학 실습을 시행하여, 전공기초 역량을 향상시키고 있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에게 다양한 전공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전문 방사선사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사력 다해 준비한 세미나… 성과 기대하고 있어
우리가 어떤 일을 힘들게, 어렵게 해냈을 때 “이번에 정말 죽는 줄 알았다” “이번에 진짜 죽는 줄 알았다”라는 표현을 한다. 문어적으로는 “이번에 사력(死力)을 다해 해냈다. 사력을 다해 이루어냈다”고 표현한다. ‘정말’, ‘진짜’라는 강조어와 일(과업)을 ‘죽음’에 비유해 표현한 것은 그 일이 매우 어렵고 힘들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일 것이다.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히든기업경영전략연구소 주관으로 개최한 ‘한국-카자흐스탄 경제협력 방안’이라는 주제의 세미나를 기획하고 준비하면서 “정말 죽는 줄 알았다” “사력을 다해 해냈다”는 말이 입에서 절로 나왔다. 위의 세미나 개최를 기획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월. 그동안 주제를 정하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친 브레인스토밍, 주제를 정하고 난 뒤에도 ‘누가 어떤 내용으로, 어떤 방식으로 발표를 해야 하나’를 놓고 난상토론을 벌이며 주제와 발표 내용 등을 확정 지어 나갔다. 그리고 이 세미나는 단순히 보여주기식, 일회성 행사로서가 아니라 국가 대 국가, 정부 대 정부의 경제협력 방안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는 나름 거창한(?) 목표가 있었기에 정부와 국회, 대통령실과의 연계된 일정과 내용 등이 필수적이었다. 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