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1학년 수시 · 정시 최종 등록률 심층해부(영남권1)

URL복사

대구 · 경북 · 강원 최종 등록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구, 경북, 강원권 대학도 2021년 대학입학 전형에 따라 최종 등록률이 전년도보다 급락했다. 
4년제 대학의 대구, 경북, 강원권 최종 등록률을 살펴보면 5만4658명 모집에 4만8519명이 등록해 88.8%의 등록률을 보였다. 


전문대학도 3만0555명 모집에 2만5925명이 등록, 84.8%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등록률이 90%이하를 기록한 것은 입시사상 처음 있는 일로 최악의 등록률을 실감하게 했다.

 
대학 유형별, 대구, 경북, 강원권별로 좀 더 자세히 각 대학별 등록률을 살펴보자. (표 참조)

 

한동대 100% 등록률 기록한 반면 경북대 · 계명대 96~97%대 충격


■ 대구, 경북지역 4년제 대학  


2021학년도 입시에서 지역 주요 대학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대부분의 대학이 ‘미달’ 사태를 겪었다. 특히, 대구대학교는 4617명 중 3502명 등록 75.9%로 나타났다. 미달 인원만 1115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경주대는 741명 모집에 105명 등록 14.2%로 경북 · 대구권 대학 중 가장 낮은 최악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대학으로는 대신대학교, 한동대학교 각각 등록률 100.0%를 기록했다. 


포항공과대학교 99.1%로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고, 금오공과대학교 82.5%로 비교적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공과대도 사립과 공립에 따른 등록률에 편차를 보였다.


경북대학교는 5018명 모집에 총 4555명이 등록해 등록률이 최종 96.8%로 집계됐다. 계명대학교는 정원 4931명 중 4814명이 등록 최종 등록률은 97.6%다. 영남대학교는 4832명 정원에 4794명 등록 99.2% 등록률을 나타냈다. 이상 3개의 대형 대학 중 영남대를 제외한 경북대, 계명대가 96~97%를 기록해 충격을 주었다.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지난해 100%의 등록률을 보였으나 올해는 83.3%로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한의대학교도 지난해 99.8%였던 등록률이 올해는 96.2%로, 경일대학교도 지난 99.3%에서 93.4%로 떨어졌다. 


그 외 대구교육대학교(98.8%), 김천대학교(95.9%), 경운대학교(96.7%), 위덕대학교(94.5%), 동양대학교(80.9%), 동국대학교(경주)(92.1%)로 전년 보다 등록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 미달 속출하는 가운데 99.4%의 높은 등록률 보인 강원대학교


■ 강원지역 4년제 대학


강원지역도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상지대학교는 2416명 모집에 1649명 등록해 68.3%의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였고, 767명이 미달됐다. 


가톨릭관동대학교도 2184명 모집에 1624명이 등록 74.4%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미달 인원은 560명으로 집계됐다. 


강원대학교는 3192명 모집에 3174명이 등록해 99.4%의 높은 등록률을 나타냈으며, 한림대학교는 1874명 중 1867명이 등록해 연세대(미래)와 공동으로 강원권 대학에서는 99.6%의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강릉원주대학교(원주)는 522명 모집에 514명이 등록해 최종 등록률 98.5%를 보였다. 그 외에 경동대학교(78.6%), 상지대학교(68.3%), 한라대학교(69.1%)는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취업률 높던 대구지역 전문대학 인기도 옛말


■ 대구, 경북지역 전문대학


취업률이 높던 대구지역 7개 전문대학도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올해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영남이공대학교로 2488명 모집에 1935명 등록 미달인원 553명으로 집계됐으며, 최종 등록률은 77.8%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대구공업대학교로 735명 모집에 681명 등록 92.7%의 등록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그 외에 영진전문대학교(84.8%), 대구보건대(87.1%), 계명문화대(83.9%), 수성대학교(89.7%), 대구과학대학교(90.0%)의 등록률을 보였다.


경북지역 15개의 전문대학 중 등록률이 가장 낮은 대학은 영남외국어대학으로 395명 모집에 167명이 등록해 42.3%라는 최악의 등록률을 보였다.


반면 등록률이 가장 높은 경북과학대는 750명 정원이 모두 등록한 100.0%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구미대학교도 1822명 모집에 1778명이 등록해 97.6%의 상대적으로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그 외에 호산대학교 (91.2%), 대경대학교(90.6%)가 90%를 상회하는 등록률을 보였고, 성운대학교(89.9%), 문경대학교(89.6%), 경북전문대학교(87.2%), 경북도립대학교(86.9%), 경북보건대학교(86.2%)가 85%이상, 가톨릭상지대학교(83.0%), 포항대학교(80.9%), 선린대학교(80.7%)는 80%이상, 서라벌대학교(75.6%), 안동과학대학교(66.3%)는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95% 넘는 대학 강원도립대학교가 유일


■ 강원지역 전문대학 


강원도 내 8개 전문대 중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강원도립대학교는 330명 모집 중 314명 등록해 95.2%의 준수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이어 강원관광대학교 (92.5%), 한국골프대학교 (91.6%) 등이 90%를 넘겼으며, 한림성심대 (81.1%), 세경대 (86.8%), 송호대학교 (84.2%) 등이 80%대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송곡대학교는 236명 모집에 164명 등록해 69.5%를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두 번째로 낮은 강릉영동대학교는 올해 1150명 모집에 800명이 등록해 350명이 미달돼 69.6%의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관련기사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