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1학년 수시 · 정시 최종 등록률 심층해부(영남권2)

URL복사

부산 · 울산 ·경남 최종 등록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1학년도 경남권 주요 4년제 신입생 최종 등록 현황 결과 국립대 · 사립대 모두 작년 대비 등록률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부산 지역 대학은 2021학년도 추가모집 인원이 작년에 비해 4배 가까이 급증했고, 각 대학마다 수 백 명씩의 정원 미달이 발생했다. 


4년제 대학의 부산, 울산, 경남권 최종 등록률을 살펴보면 5만0273명 모집에 4만5194명이 등록해 89.9%의 등록률을 보였다. 전문대는 2만2084명 중 1만7398명이 등록하여 최종 78.8%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대학 유형별, 부산, 울산, 경남권별로 좀 더 자세히 각 대학별 등록률을 살펴보자. (표 참조)

 

부산대, 동아대 99.1% 기록 동서대 등 80% 이하 충격


■ 부산, 울산지역 4년제 대학  


부산지역 15개 4년제 대학들의 수시모집 최종 등록률이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학교는 4587명 모집하여 4547명 등록해 99.1%의 등록률을 기록했고 동아대학교도 4341명 모집인원 가운데 4302명이 등록해 역시 99.1%의 최종 등록률을 기록했다.


인제대 부산캠퍼스는 87명모집에 87명이 등록, 100%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부경대학교 역시  3597명 중 3564명이 등록해 최종 등록률은 99.1%로 나타났다. 경성대학교도 수시 모집 인원 2900명 중 2867명이 등록해 상대적으로 선전한 98.9%를 기록했다.  


반면 영산대학교(해운대)는 946명 모집에 695명이 등록해 73.5%의 가장 저조한 등록률을 나타냈다. 신라대학교도 정원 내 등록 대상 2352명 중 1843명이 등록해 78.4%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국립 부산교육대(98.7%), 한국해양대학교(96.7%), 고신대학교(94.2%), 동의대학교(92.2%)는 90%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그 외에 동명대학교(87.3%), 부산가톨릭대학교(81.1%)는 간신히 80%대의 등록률을 보였고 동서대학교(79.3%), 부산외국어대학교(79.1%) 등은 저조한 등록률을 나타냈다.


울산지역 대학교도 예외없이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울산지역 인구 감소와 유출로 학생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지역 대학들이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대학교는 올해 신입생 정원 2959명 가운데 2846명이 등록해 미달 인원 113명이 발생, 등록률이 96.2%를 나타냈다. 

 

 

작년 100% 기록했던 경남과기대도 95.6%에 그쳐


■ 경남권 4년제 대학  

 

경남권 11개 대학의 수시모집 최종 등록률 중 한국국제대학교는 총원 512명 중 147명 등록하여 28.7%의 최저 등록률을 나타냈다. 경남대학교는 모집 총원 2907명 중 2057명이 등록 70.8%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영산대학교도 총원 668명에 477명이 등록해 71.4%의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인제대학교는 모집인원 2070명 중 1612명이 등록하면서 77.9%의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경남도내 가장 등록률이 높은 대학은 진주교육대학교로 346명 중 338명 등록 97.7% 기록했다. 창신대학교도 정원내 모집 총원 501명 중 487명이 등록해 97.2%의 상대적으로 준수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경상국립대학교는 3358명 모집 중 3255명 등록해 96.9%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100% 등록률을 달성했던 경남과학기술대학교는 총원 1241명 중 1187명이 등록, 95.6%의 등록률을 보였다. 


그 외에 창원대학교(94.3%), 부산장신대학교(94.1%)는 90%이상, 가야대학교(김해)는 81.3%의 등록률을 보였다.

 

 

부 · 울 · 경 전문대 중 경남도립거창대학만 95% 넘겨

 

■ 부산, 울산, 경남지역 전문대학 

 

부산의 전문대도 보건계열, 미용 계열 학과 빼고 올해 신입생 충원은 거의 절망적인 수준이다. 

 

부산에서 2021년 신입생 모집 인원이 2000명이 넘는 곳은 경남정보대학교와 동의과학대학교 2곳으로, 부산 · 울산 · 경남지역 웬만한 4년제 일반대 보다 규모가 큰 전문대로 경남정보대는 73.7%, 동의과학대는 61.9%로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춘해보건대학교가 827명 모집에 768명 등록해 등록률 92.9%로 부산 8개, 울산 2개 전문대 중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울산과학대학교는 1853명 중 1658명이 등록해 등록률 89.5%을 기록했다. 부산경상대학교 88.6%, 부산예술대학교 82.7%, 부산과학기술대학교 81.3%를 기록했고 부산여자대학교 78.2%, 동주대학교66.4% 등으로 나타났다.


경남권 전문대의 거제대학교는 모집 총원 471명 중 270명이 등록해 57.3%의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창원문성대학교는 총원 1069명에 684명이 등록해 64.0%로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경남도립거창대학은 410명 모집중 390명 등록 95.1%로 경남권 중 가장 높은 등록률 기록했다. 


그외에 경남도립남해대학교 91.1%, 김해대학교 88.9%, 진주보건대학교 86.2%, 마산대학교 83.9%, 동원과학기술대학교 82.8%, 한국승강기대학교 80.9% 등의 등록률을 보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관련기사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