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2.11 (월)

  • 흐림동두천 4.5℃
  • 흐림강릉 9.1℃
  • 서울 8.1℃
  • 대전 11.0℃
  • 대구 13.2℃
  • 울산 13.2℃
  • 광주 13.6℃
  • 부산 14.2℃
  • 흐림고창 13.5℃
  • 흐림제주 17.7℃
  • 흐림강화 4.8℃
  • 흐림보은 12.1℃
  • 흐림금산 11.7℃
  • 흐림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2300선 붕괴…'FOMC 쇼크' 1.8% 하락

URL복사

1.81% 하락한 2290.00…종가기준 연중 최저치
올해 7월6일 이후 가장 낮아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코스피가 종가 기준 연중 최저가로 떨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후폭풍이 지속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 중심의 매도세가 쏟아지면서 지수에 힘이 빠졌다.

2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42.31포인트(1.81%) 내린 2290.00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종가 기준 올해 전저점인 2292.01(올해 7월6일) 보다 낮은 수치다.

이날 지수는 0.98포인트 하락 출발해 개장 직후 반짝 상승 반전했지만, 이내 다시 하락세로 전환한 뒤 낙폭을 키웠다. 오후 1시18분경에는 낙폭을 2% 이상 확대하면서 2285.71까지 내렸다. 올해 장중 기준 저점은 지난 7월4일 기록한 2276.63이다.

 

지수가 약세를 보인 건 간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행보와 경기침체 우려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 연준이 3연속으로 한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매파적으로 발언하며 증시에 하방 압력을 더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강경 대응과 함께 경기 침체까지 시사하며 시장에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41억원, 2509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은 4311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 지수는 대부분 부진했다. 운수창고는 4% 넘게 내렸고 의료정밀, 화학, 비금속광물 등이 3%대 약세를 나타냈다. 기계, 건설업, 종이목재, 섬유의복, 튜옹업, 제조업 등도 2% 넘게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00원(0.18%) 오른 5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시총 2위인 LG에너지솔루션은 5% 넘게 급락했다. 그외 SK하이닉스(-2.91%), 삼성바이오로직스(-1.91%), LG화학(-3.51%), 삼성SDI(-3.02%), 현대차(-1.55%) 등이 내린 반면 NAVER(1.94%), KB금융(0.71%) 등은 올랐다.

코스닥지수는 22.05포인트(2.93%) 내린 729.36에 거래를 마감했다. 기관은 366억원, 개인은 2802억원 각각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이 3101억원 순매도하며 지수는 하락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가 각각 6~7%대 급락세를 나타냈다. 셀트리온헬스케어(-1.38%), 카카오게임즈(-2.50%), 펄어비스(-2.91%), 에코프로(-4.22%), 셀트리온제약(-3.07%) 등도 떨어졌다. HLB는 1.52% 올랐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4원 내린 1409.3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환율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에서 3연속 0.75%p 금리 인상에 장중 1413.40원까지 치솟았다. 이는 13년 7개월 만에 최고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김기현 "모든 기득권 내려놓고 사즉생 각오로 국민 목소리 답할 것"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1일 "저를 비롯한 우리 당 구성원 모두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즉생의 각오과 민생과 경제를 살리라는 국민 목소리에 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주류 희생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혁신위의 소중한 결과물이 조만간 구성될 예정인 공관위 등 당의 여러 공식 기구에서 질서 있게 반영되고, 추진되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혁신위는 그동안 결코 소홀히 다룰 수 없는 부분을 짚고, 제안해 줬다"며 "인요한 위원장을 포함한 12명의 혁신위원 한분 한분에게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혁신위는 ▲당내 통합을 위한 대사면(1호) ▲국회의원 특권 배제 등(2호) ▲청년 비례대표 50% 배치 등(3호) ▲전략공천 원천 배제 등(4호) ▲과학기술인 공천 확대 등(5호) ▲당내 주류 총선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6호) 혁신안을 제시했다. 혁신위가 제시한 혁신안은 당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논의될 전망이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 6일 인요한 혁신위원장과의 회동에서 "최고위에서 의결할 사안이 있고 공관위나 선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