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6.9℃
  • 맑음강릉 6.9℃
  • 맑음서울 9.3℃
  • 맑음대전 8.2℃
  • 맑음대구 8.7℃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2.8℃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5.6℃
  • 맑음금산 5.4℃
  • 맑음강진군 7.8℃
  • 구름많음경주시 6.8℃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IBK 데스티니 36점, V-리그 2연승 질주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정상 궤도에 진입한 IBK기업은행이 2연승을 질주했다. 

IBK기업은행은 12일 평택이충문화체육센터에서 열린 NH농협 2014~2015 V-리그 여자부 GS칼텍스와의 경기에서 3-2(15-25 25-16 25-23 23-25 15-10) 역전승을 거뒀다. 

1라운드 5경기에서 2패를 당해 2년 연속 정규리그 우승팀의 체면을 구긴 IBK기업은행은 지난해 챔피언결정전에서 아픔을 선사했던 GS칼텍스를 제물로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 

4승2패(승점 11)가 된 3위 IBK기업은행은 상위권 도약에는 실패했지만 선두 흥국생명(4승1패·승점 11)과의 승점차를 지우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 

IBK기업은행은 데스티니(36점)와 김희진(21점) 쌍포가 위력을 떨치면서 뒤집기를 연출했다. 두 선수는 57점을 합작하며 11점(공격성공률 25%)에 머문 박정아의 부진을 메웠다. 

지난 5일 한국도로공사를 잡고 5경기 만에 승리를 맛본 GS칼텍스는 첫 세트를 따내고도 뒷심 부족에 울었다. 쎄라(32점)와 이소영(14점)이 분전했지만 센터를 활용한 공격 전개에 애를 먹은 것이 아쉬웠다. 

두 팀은 초반 두 세트를 사이좋게 나눠가졌다. GS칼텍스가 1세트 표승주를 앞세워 10점차의 넉넉한 승리를 챙기자 IBK기업은행은 2세트를 곧바로 따내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3세트는 IBK에 돌아갔다. 줄곧 끌려가던 IBK기업은행은 17-19에서 데스티니의 오픈 공격으로 21-21 동점을 만들더니 유희옥의 서브 에이스까지 터지면서 24-22로 전세를 뒤집었다. 

24-23에서는 김희진이 쎄라의 후위공격을 막아내며 세트스코어 2-1로 앞섰다. IBK기업은행은 4세트 중반 16-10까지 치고 나가면서 승점 3점을 가져가는 듯 했다. 

그러나 GS 칼텍스는 쉽게 물러나지 않았다. 끈질긴 수비를 앞세워 턱밑까지 추격한 GS칼텍스는 23-23에서 한송이의 허를 찌르는 개인 시간차로 세트 포인트에 도달한 뒤 데스티니의 공격 범실로 4세트를 따냈다. 

운명의 5세트 희비는 박정아의 활약으로 엇갈렸다. 경기 내내 잠잠하던 박정아는 6-5에서 쎄라를 블로킹으로 돌려세우며 존재감을 뽐내더니 곧바로 어려운 오픈 공격까지 득점으로 연결시키면서 분위기를 가져왔다. 

데스티니는 GS칼텍스의 추격이 거세진 13-10에서 연속 2득점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과 학생들, 다가오는 겨울, 나눔으로 지역에 온기 전해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백석문화대학교(총장 이경직)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는 11일(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천안시 봉명동에 위치한 하늘씨앗교회에서 ‘좋은씨앗공동체 무료급식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대학이 가진 인적·교육적 자원을 지역 복지에 환원하기 위해 마련되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된 백석문화대의 추진과제 중 ‘대학 연계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휴먼케어(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봉사활동에는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 임재문 센터장, 단위과제 황성우 책임교수, 미디어영상학부 박미경 학과장 등 교수 3명을 비롯해 재학생 14명(간호학과 11명, 미디어영상학부 3명)이 함께 참여해 저소득 다문화가정, 독거노인, 오·벽지 주민 등 지역 내 취약계층 300여 명에게 체력 회복과 건강에 좋은 삼계탕을 손수 만들고, 배식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 백석문화대 임재문 사회가치실현센터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영양식 제공을 통해 취약계층의 건강을 증진하고, 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 섬김의 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