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6.7℃
  • 맑음서울 8.8℃
  • 맑음대전 7.9℃
  • 맑음대구 7.3℃
  • 맑음울산 9.2℃
  • 맑음광주 9.6℃
  • 맑음부산 11.4℃
  • 맑음고창 9.0℃
  • 맑음제주 12.6℃
  • 맑음강화 7.9℃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4.5℃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5.4℃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스트렙, PGA 맥글래드리서 연장 끝에 생애 첫 우승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3번째 시즌을 맞은 로버트 스트렙(27·미국)이 맥글래드리 클래식(총상금 560만 달러)에서 생애 첫 우승의 기쁨을 만끽했다.

스트렙은 27일(한국시간) 미국 조지아주 시아일랜드의 시아일랜드 골프장(파70·7005야드)에서 열린 대회 4라운드 최종일 연장 접전 끝에 윌 맥킨지(40·미국)·브렌던 디 용(34·남아공)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권과 거리가 멀었던 스트렙은 이날 7타를 줄이는 버디쇼를 앞세워 최종합계 14언더파 266타를 기록, 승부를 연장으로 몰고갔고 연장 두 번째 홀 끝에 정상에 섰다.

디 용과 함께 나선 연장 두 번째홀(17번홀)에서 버디를 기록, 파에 그친 디 용을 따돌리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3년부터 PGA투어에서 활약한 스트렙은 첫 우승을 일궈냈다. 이전까지는 2009년에 프로로 전향해 줄곧 웹닷컴 투어(2부 투어)를 전전했다.

우승 상금 100만8000 달러(약 10억6650만원)를 챙긴 스트렙은 2016~2017시즌까지 PGA 투어 2시즌 풀시드를 확보했다. 마스터스 토너먼트와 PGA챔피언십 등 메이저 대회 출전권도 따냈다.

공동 선두그룹에 5타 뒤진 공동 12위에서 최종일 출발한 스트렙의 우승을 점치는 이는 그리 많지 않았다. 

하지만 스트렙은 보기 2개를 내는 속에서 버디를 9개나 쓸어담는 맹타를 휘두르며 단숨에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넉넉히 앞서 있던 앤드류 스보보다(35·미국), 맥킨지, 러셀 헨리(25·미국) 등 공동 선두그룹이 나란히 주춤하면서 스트렙에게 기회가 왔다.

전반에만 4타를 줄인 스트렙은 후반라운드에서 3타를 추가로 줄이며 디 용과 함께 공동 선두로 먼저 대회를 마쳤다.

작별을 준비하던 맥킨지가 17번홀 극적인 버디 1개를 추가하며 연장전 멤버에 합류, 스트렙·디 용·맥킨지 세 명이 나란히 연장전에 돌입했다.

18번홀에서 계속된 연장 첫 홀에서 보기를 범한 맥킨지가 가장 먼저 고배를 마셨고, 각각 파를 기록한 디 용과 스트렙이 연장 두 번째 홀에 접어들었다.

스트렙은 17번홀에서 이어진 연장 두 번째 홀에서 완벽한 티샷으로 기선을 제압했다. 홀컵 50㎝ 이내에 붙여 7~8m를 남겨둔 디 용을 압박했다. 

디 용은 투 퍼트로 파를 기록한 반면, 스트렙은 무난하게 버디에 성공해 우승을 거머쥐었다.

한국(계) 선수 가운데에서는 재미동포 제임스 한(33·한국명 한재웅)이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제임스 한은 3타를 줄여 최종합계 8언더파 272타 공동 17위로 대회를 마무리했고, '루키' 박성준(28)은 1타를 줄인 끝에 최종합계 6언더파 274타 공동 32위로 그 뒤를 이었다.

또 다른 재미동포 존 허(24·허찬수)는 최종합계 4언더파 276타 공동 48위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