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6.7℃
  • 맑음서울 8.8℃
  • 맑음대전 7.9℃
  • 맑음대구 7.3℃
  • 맑음울산 9.2℃
  • 맑음광주 9.6℃
  • 맑음부산 11.4℃
  • 맑음고창 9.0℃
  • 맑음제주 12.6℃
  • 맑음강화 7.9℃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4.5℃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5.4℃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보아텡 극적 결승골' 뮌헨, 맨시티에 1-0 승

URL복사

바르셀로나, 아포엘에 신승…첼시는 샬케와 무승부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바이에른 뮌헨(독일)이 제롬 보아텡의 극적인 결승골에 힘입어 맨체스터 시티(잉글랜드)를 제압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18일(한국시간) 독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린 맨시티와의 2014~2015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32강 E조 조별리그 1차전 홈경기에서 후반 45분 터진 보아텡의 득점을 앞세워 1-0으로 이겼다.

본선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한 바이에른 뮌헨(1승·승점 3)은 조 2위를 차지했다.

같은 조의 AS로마(이탈리아)가 CSKA모스크바(러시아)를 5-1로 꺾어 골득실(바이에른 뮌헨 +1, AS로마 +4)에서 뒤졌다.

1패로 본선을 시작한 맨시티는 조 3위에 머물렀다.

 '초호화 군단'간의 대결답게 스타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마리오 괴체,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토마스 뮐러 '삼각편대'를 선발로 내세웠고 맨시티는 에딘 제코에게 최전방을 맡겼다.

치열한 공방전이 오갔지만 골은 나오지 않았다. 0의 침묵은 경기 종료 직전 깨졌다. 바이에른 뮌헨이 웃었다.

후반 45분 문전 혼전 상황에서 뒤로 흐른 공을 보아텡이 그림 같은 오른발 발리슛으로 연결해 골망을 갈랐다.

FC바르셀로나(스페인)는 F조 1차전에서 아포엘FC(키프로스)에 1-0 신승을 거뒀다.

전반 28분 수비수 헤라르드 피케가 뽑아낸 선제골이 그대로 승부를 갈랐다. 리오넬 메시는 1도움을 올리며 팀 승리에 일조했다.

같은 조의 파리 생제르맹(프랑스)과 아약스(네덜란드)는 1-1로 비겼다.

첼시(잉글랜드)는 샬케04(독일)와의 G조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뒀다.

전반 11분 세스크 파브레가스의 득점으로 리드를 잡은 첼시는 후반 17분 샬케의 골잡이 클라스 얀 훈텔라르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승리를 놓쳤다.

H조 1차전에서는 FC포르투(포르투갈)가 FC바테(벨라루스)를 6-0으로 완파했고 아틀레틱 빌바오(스페인)는 샤흐타르 도네츠크(우크라이나)와 득점 없이 비겼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