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1 (화)

  • 구름조금동두천 10.7℃
  • 맑음강릉 9.7℃
  • 구름조금서울 11.7℃
  • 구름많음대전 11.2℃
  • 구름조금대구 12.7℃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3.3℃
  • 구름조금고창 10.6℃
  • 맑음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10.1℃
  • 구름많음보은 9.9℃
  • 구름많음금산 9.8℃
  • 구름조금강진군 13.6℃
  • 맑음경주시 10.2℃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대세 인증' 中클럽들, ACL 조별리그 첫 경기 전승

URL복사

돈도 스타도 부족한 韓·日 축구는 울상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아시아 축구 맹주'를 자처하던 한국과 일본이 중국에 추월당했다. 

2015아시아축구연맹(AFC) 조별리그 1차전 결과만 놓고 보면 그렇다. 

지난 25일까지 치러진 대회 조별리그 1차전에서 중국 슈퍼리그 4개 클럽(광저우 에버그란데·광저우 부리·베이징 궈안·산둥 루넝)은 모두 승리를 챙겼다. 

승리의 내용도 눈여겨 볼만하다. 

광저우 에버그란데는 FC서울(한국)을, 광저우 부리는 감바 오사카(일본)를, 베이징 궈안은 브리즈번 로어(호주)를, 산둥 루넝은 반 즈엉(베트남)을 각각 꺾었다. 중국은 첫 경기에서 동아시아 상대 클럽들에 골고루 고배를 안겼다. 

아시아 무대에서 만큼은 '최강' 대우를 받았던 한국과 일본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한국 4개 클럽(전북현대·수원삼성·성남FC·서울)은 조별리그 1차전에서 1승1무2패라는 성적을 거뒀다. 수원이 우라와 레즈(일본)에 2-1 역전승을 거두며 간신히 K리그의 자존심을 지켰다. 

일본 J리그 4개 클럽(가시와 레이솔·감바 오사카·우라와 레즈·가시마 앤틀러스)은 무승에 그쳤다. 가시와 레이솔이 전북과 0-0으로 비겼고 나머지 3개 팀은 모두 졌다. 처참한 수준이다. 

동아시아, 나아가 아시아 축구의 판도가 흔들리고 있다.

중국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이제는 한국과 일본이 중국을 따라잡기에 버거울 정도다. 

중국은 몇 해 전부터 막대한 자금을 앞세워 우수한 선수들을 슈퍼리그로 끌어들이고 있다. 거물급 선수들의 중국행은 이제 놀라운 일도 아니다. 

프로 세계에서 투자는 곧 결과로 이어진다. 중국 클럽들은 돈 들여 영입한 외국인 선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올 시즌 광저우 에버그란데로 이적한 히카르두 굴라트는 서울을 상대로 결승골을 터뜨리며 팀에 승리를 안겼다. 그의 이적료는 약 200억원에 달한다. 

나머지 중국 클럽들도 공격 자원에 유명 외국인 선수 한두 명씩은 보유하고 있다. 골결정력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광저우 에버그란데전을 무득점으로 마친 최용수 서울 감독은 "과정은 좋았지만 골결정력이 아쉬웠다"며 "광저우 에버그란데에는 개인 기량이 뛰어난 선수가 많다. 축구는 팀 스포츠이지만 개인 역량에 따라 승부가 갈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중국이 성장하는 사이 한국과 일본 프로축구는 퇴보했다. 우수 선수 유출이 가장 큰 이유다.

실력이 있는 한국 선수들은 대부분 유럽으로 떠난다. 연봉, 추가수당 등 K리그보다 대우가 훨씬 좋은 중국과 중동으로 둥지를 옮기는 선수들도 많다. 

일본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최근 독일 프로축구 분데스리가로 진출하는 선수들이 부쩍 늘었다. 과거에는 외국인 선수 영입으로 공백을 메웠지만 이제는 중국, 중동 등과의 '머니게임'에서 뒤로 밀린 처지다. J리그의 경쟁력이 눈에 띄게 떨어졌다.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우라와 레즈 감독은 "독일 분데스리가에만 일본 선수 15~16명이 뛰고 있다. 한국 역시 좋은 선수들은 외국으로 나가고 나머지 선수들이 K리그에서 뛰고 있다"며 "이 점이 아시아 리그의 평준화를 불렀다"고 한국과 일본 클럽들의 부진을 분석했다. 

현재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국가는 한국이다. 우승 10회, 준우승 6회를 차지했다. 

다음은 일본이다. 우승 5회, 준우승 3회를 기록했다. 

중국은 우승 2회, 준우승 2회로 한국과 일본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역사만 놓고 보면 비교가 되지 않는다. 

아시아 축구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제는 중국이 가장 앞서 있고 한국과 일본이 뒤를 쫓는 형세다. 

남은 조별리그 경기에서 한국과 일본 클럽들이 '전통 강호'의 저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팬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장동혁, 대장동 항소 포기에 "국정조사와 특검 통해 이재명 탄핵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해 국민의힘 장동혁 당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했다. 장동혁 당 대표는 11일 대검찰청 앞에서 개최된 ‘대검찰청 긴급 현장 규탄대회’에서 “지금 엉망으로 망가지는 대한민국을 구하는 방법은 딱 하나다. 이재명을 대통령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하는 것뿐이다”라며 “국정조사와 특별검사를 통해서 이재명을 탄핵해야 한다. 그리고 지금 즉시 법원은 이재명에 대한 재판을 재개해야 한다. 그것이 대한민국을 구하는 유일한 길이다”라고 말했다. 장동혁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에 “국정조사 하자.. 그리고 특검하자”고, 법원에 “이재명 재판 다시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서울 동작구을, 법제사법위원회, 5선)도 11일 YTN 라디오 ‘더인터뷰’에 출연해 “(대장동 항소 포기는) 당연히 직권남용에 해당된다”며 “이 정도면 대한민국의 법치를 무너뜨린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이재명 대통령) 탄핵 사유다”라고 말했다. 10일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엔 박재억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박현준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장, 박영빈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등 검사장 18명 명의로 '검찰총장 권한대행께 추가 설명을 요청드린다'는 제목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과 학생들, 다가오는 겨울, 나눔으로 지역에 온기 전해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백석문화대학교(총장 이경직)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는 11일(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천안시 봉명동에 위치한 하늘씨앗교회에서 ‘좋은씨앗공동체 무료급식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대학이 가진 인적·교육적 자원을 지역 복지에 환원하기 위해 마련되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된 백석문화대의 추진과제 중 ‘대학 연계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휴먼케어(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봉사활동에는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 임재문 센터장, 단위과제 황성우 책임교수, 미디어영상학부 박미경 학과장 등 교수 3명을 비롯해 재학생 14명(간호학과 11명, 미디어영상학부 3명)이 함께 참여해 저소득 다문화가정, 독거노인, 오·벽지 주민 등 지역 내 취약계층 300여 명에게 체력 회복과 건강에 좋은 삼계탕을 손수 만들고, 배식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 백석문화대 임재문 사회가치실현센터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영양식 제공을 통해 취약계층의 건강을 증진하고, 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 섬김의 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