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3.2℃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7.1℃
  • 맑음대전 4.3℃
  • 맑음대구 3.8℃
  • 맑음울산 7.7℃
  • 맑음광주 7.2℃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5.1℃
  • 구름많음제주 13.5℃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0.7℃
  • 맑음금산 1.0℃
  • 맑음강진군 3.3℃
  • 맑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美 농구 스타 출신 잉글리시와 세일즈, 스포츠 사절단으로 방한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미국프로농구(NBA) 득점왕 출신 알렉스 잉글리시(60)와 미국여자프로농구(WNBA)에서 7차례 올스타에 오른 니케샤 세일즈(38)가 방한했다.

잉글리시와 세일즈는 미국 국무부에서 주관하는 스포츠사절단의 일환으로 19일 한국을 방문했다.

20일 서울 용산구 주한미국대사관 공보관에서 기자회견을 연 이들은 이후 한국에 머물며 농구 클리닉을 진행한다.

미국 국무부의 스포츠사절단 프로그램은 2003년부터 시작됐으며 스타 선수로 활약했던 220여명을 세계 50여개국에 파견해 왔다. 이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소외계층의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 잉글리시와 세일즈 모두 NBA와 WNBA에서 손꼽혔던 스타들이었다.

잉글리시는 1976~1977시즌 밀워키 벅스 유니폼을 입고 NBA에 데뷔해 1990~1991시즌까지 인디애나 페이서스, 덴버 너기츠, 댈러스 매버릭스를 거치며 선수 생활을 했다.

그는 덴버에서 뛴 1982~1983시즌에 평균 28.4득점을 넣어 득점왕에 올랐다.

8차례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한 잉글리시는 농구 명예의 전당 회원이다.

세일즈는 WNBA 올랜도 미라클과 코네티컷 썬을 거치며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선수로 활약했다. 

세일즈는 코네티컷이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두 차례 파이널에 오르는데 앞장섰다. 당시 코네티컷은 4년 연속 동부콘퍼런스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이들은 21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 LG 체육관에서 생활체육여자농구연합회 농구 클리닉을 실시하며 22일에는 정심여자정보산업고에서 농구 클리닉을 연다.

23일 경기도 아산 이순신경기장에서 지적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구 클리닉을 실시한다.

24일에는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고아, 장애아동,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농구 지도를 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