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9℃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6.6℃
  • 맑음대전 3.7℃
  • 맑음대구 3.1℃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6.5℃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4.1℃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5.9℃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0.2℃
  • 맑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PGA]우즈, 허리수술 회복단계...플레이어스챔피언십 불참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허리 수술과 재활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미국프로골프(PGA) 투어를 중단한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39·미국)가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에 근황을 알렸다.

지난달 24일(이하 한국시간) 우즈의 에이전트 마크 스타인버그가 미국 ESPN을 통해 간접적으로 회복 상태를 알린 바 있지만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즈는 6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플레이어스챔피언십을 앞두고 있지만 불행하게도 출전하지 못한다"며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대회에 불참하게 돼 매우 유감이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해 "수술 후 등쪽으로 약간의 거북함이 있는 상황"이라면서 "하지만 서서히 회복 단계에 있고 이제 간신히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정도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스타인버그가 ESPN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당시 스타인버그는 "우즈는 매일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 가벼운 칩샷과 퍼팅 연습을 소화할 정도로 회복했다"고 소개한 바 있다.

우즈는 '제5의 메이저'라고 불리는 플레이어스챔피언십에서 통산 2승을 거뒀다. 2001년 이 대회에서 첫 정상에 선 그는 지난해 12년 만에 우승 트로피를 다시 들어올렸다. 

시즌 초반 허리 통증을 안고 PGA 대회에 나섰던 우즈는 지난 3월31일 결국 수술대에 올랐다. 이에 따라 1995년부터 한 차례도 거른 적 없었던 메이저 대회인 마스터스 토너먼트를 포기했다.

"마스터스를 건너 뛰는 것 역시 심적으로 힘들었다"던 우즈는 "프레드 커플스가 3라운드까지 좋은 성적을 내는 것까지 지켜봤는데, 마지막 날 고전하면서 (우승 경쟁이)흥미롭게 진행됐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이어 "그린 재킷을 입은 부바 왓슨에게도 축하의 인사를 건네고 싶다"고 덧붙였다.

우즈가 시즌 첫 메이저 대회를 건너뛰면서 관심은 두 번째 메이저인 US오픈까지 복귀를 할 수 있는지 여부에 쏠리게 됐다. US오픈은 오는 6월12일부터 열리지만 여전히 우즈의 출전은 불투명하다.

우즈는 복귀 시기에 대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몇몇 사람들은 디스크 수술 후 완전한 회복까지 3개월이 걸리기도 하고 또 몇몇은 4개월이 걸리기도 한다"면서 "나는 그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재활 훈련 등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가벼운 퍼트와 칩앤드런샷 정도만 소화할 뿐 허리를 써야만 하는 정상적인 샷은 하지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즈는 올해 17개의 PGA 투어 대회 가운데 불과 네 차례 출전에 그치고 있다. 지난 3월3일 혼다 클래식 4라운드 도중 허리 통증 때문에 기권했고, 이어진 월드골프챔피언십(WGC) 캐딜락챔피언십을 소화한 뒤 대회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우즈의 여자 구 린지 본(30)도 소치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무릎 부상을 입어 출전하지 못했다. 재활을 해야만하는 같은 처지에 놓였다.

우즈는 "본과 같이 재활을 하고 있어 큰 도움이 된다"며 "본은 올해 12월께 복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