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9℃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6.6℃
  • 맑음대전 3.7℃
  • 맑음대구 3.1℃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6.5℃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4.1℃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5.9℃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0.2℃
  • 맑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LPGA]박인비, 56주째 세계랭킹 1위...루이스와 0.21점 차

URL복사

'노스 텍사스 대회 준우승' 이미나, 70위에서 51위로 19계단 ↑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박인비(26·KB금융그룹)가 스테이시 루이스(29·미국)의 맹추격을 따돌리고 세계랭킹 1위를 지켰다.

박인비는 5일(한국시간) 발표된 롤렉스 세계랭킹 포인트에서 평점 9.99점을 얻어 1위를 유지했다.

박인비는 같은 날 끝난 미국 텍사스주 어빙의 라스 콜리나스 컨트리클럽(파71·6410야드)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노스 텍사스 LPGA 슛아웃(총상금 130만 달러) 마지막 날 최종합계 5언더파 279타를 기록, 공동 14위에 머물렀다.

같은 대회에서 라이벌 루이스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많은 이들은 루이스의 세계랭킹 1위 등극을 점쳤다. 이전 주까지 루이스는 평점 9.31점(랭킹 3위)으로 0.7점 뒤진 위치에서 호시탐탐 1위 자리를 노렸다.

우승을 차지한 루이스와 톱10 밖으로 밀려난 박인비의 상황을 놓고 볼 때 극적으로 위치가 뒤바뀔 수 있던 것이 사실이었다.

여자골프 세계랭킹은 최근 2년(104주)간 선수들의 성적을 바탕으로 매긴 점수를 출전 대회 수로 나눈 평균 점수에 따라 산정한다. 최근 13주 동안의 대회 성적에 가중치를 두고 있다.

박인비는 최근 13개 대회에서 톱10에 9차례 들었다. 올 시즌만 놓고 보면 출전한 8개 대회 가운데 6차례 톱10에 진입하며 톱10 피니시율 75%로 이 부문 2위를 달리고 있다.

루이스는 올 시즌 9개 대회에 출전해 8차례 톱10에 들며 톱10 피니시율 89%를 기록, 이 부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루이스는 이날 발표된 랭킹 포인트에서 평점 9.78점을 얻어 박인비에 0.21점 뒤진 2위에 자리했다. 지난주 뉴질랜드 동포 리디아 고(17·한국명 고보경)에게 뺏긴 2위 자리를 되찾는 데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안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박인비와 루이스의 포인트가 0.21점에 불과해 다음 대회에서 얼마든지 1·2위 자리가 바뀔 수 있다.

56주 연속 랭킹 1위를 달리고 있는 박인비는 세계랭킹을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로레나 오초아(멕시코·158주), 청야니(타이완·109주)의 뒤를 이어 최다 연속 1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주 전 롯데 챔피언십 우승 이후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미셸 위(25·나이키골프)는 평점 4.48점을 얻어 평점 4.31점의 최나연(27·SK텔레콤)을 끌어내리고 랭킹 12위로 한 계단 뛰어올랐다. 

10위 크리스티 커(37·미국)의 평점이 4.66점에 불과해 지금과 같은 페이스만 유지한다면 조만간 세계랭킹 10위권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이미나(33·볼빅)는 평점 1.81점을 기록, 기존 70위에서 51위로 19계단 뛰어 올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