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9℃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6.6℃
  • 맑음대전 3.7℃
  • 맑음대구 3.1℃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6.5℃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4.1℃
  • 맑음제주 13.4℃
  • 맑음강화 5.9℃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0.2℃
  • 맑음강진군 3.0℃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UCL]결승 선착한 레알 마드리드, 결승 상대에 흥미 집중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레알 마드리드(스페인)가 2013~2014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선착하면서 결승 맞상대가 누가 될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레알 마드리드는 30일(한국시간) 오전 3시45분부터 독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원정경기로 치러진 바이에른 뮌헨(독일)과의 챔스 4강 2차전에서 4-0으로 완승, 지난 24일 스페인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4강 1차전 홈경기 1-0 승리를 포함해 득점 합계 5-0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레알 마드리드의 맞상대는 오는 5월1일 오전 3시45분 영국 런던의 스탬포드 브리지에서 펼쳐지는 홈팀 첼시(잉글랜드)와 원정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스페인)의 4강 2차전에서 결정된다. 양 팀은 앞서 지난 23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홈 구장인 스페인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에서 1차전을 치러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첼시가 챔스 결승전에 오른다면 첼시의 사령탑 조제 무리뉴(51) 감독이 자신이 지난 3시즌 동안 지휘했던 '친정'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경기를 치르는 '무리뉴 더비'가 펼쳐진다. 2009~2010시즌 인터 밀란(이탈리아)의 챔스 우승을 견인한 무리뉴 감독은 공교롭게도 레알 마드리드를 맡았던 3시즌(2010~2011·2011~2012·2012~2013) 내내 챔스 4강에서 연속 탈락했던 아픔이 있다. 

반면 카를로 안첼로티(55) 레알 마드리드 감독은 무리뉴 감독이 그렇게 이루지 못한 것을 부임 첫 시즌에 해낸 것이어서 묘한 대조를 이룬다. 첼시가 또 4강에서 탈락하면 무리뉴 감독으로서는 더욱 망신살이 뻗치는 경우가 된다. 

레알 마드리드와 첼시의 맞대결이 성사되면 또 하나의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생긴다. 

무리뉴 감독이 레알 마드리드를 이끌었던 것처럼 안첼로티 감독은 2시즌(2009~2010·2010~ 2011)시즌 동안 첼시의 감독을 지냈다. 두 사람 모두 친정을 상대로 칼을 겨눠야 하는 것이다. '친정팀 더비'인 셈이다.

안첼로티 감독으로서는 무리뉴 감독에 대한 복수전이기도 하다. 2006~2006시즌 AC 밀란(이탈리아)의 수장으로 챔스 우승을 일궜던 안첼로티 감독의 첼시는 2009~2010시즌 챔스 16강전에서 무리뉴 감독의 인터 밀란(이탈리아)에 득점 합계 3-1로 패해 인터 밀란의 우승의 '불쏘시개' 역할에 그쳤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결승전에 오르면 '마드리드 더비'가 펼쳐진다. 마드리드 지역 라이벌인 레알과 아틀레티코의 경기는 레알 마드리드와 FC바르셀로나(스페인)의 '엘클라시코'만큼은 아니지만 흥미로운 라이벌 매치로 꼽힌다. 

더구나 최근 두 팀은 올 시즌 프리메라리가 우승을 놓고 FC바르셀로나까지 포함해 3파전을 벌이고 있다. 현재 순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승점 88점(28승4무3패)으로 1위를 달리고, FC바르셀로나(27승3무5패·승점 84점)와 레알 마드리드(26승4무4패·승점 82점)가 각각 2, 3위로 추격 중이다. 다만 레알 마드리드는 다른 두 팀과 달리 1경기를 덜 치러 역전 우승 가능성도 있다. 

올시즌 마드리드 더비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리그에서 1승1무(2013년 9월29일 0-1 승·2014년 3월3일 2-2 무)·코파 델 레이(스페인 국왕컵) 2승(4강전·2014년 2월6일 3-0 승·2월12일 2-0 승) 등 총 3승1무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첼시-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승자는 오는 5월25일 레알 마드리드와 대망의 결승전을 치른다. 결승전 장소는 공평하게 제3의 장소에서 치러진다. 그런데 하필이면 올해는 포르투갈 리스본의 에스타디오 다 루즈다. 

포르투갈은 레알 마드리드의 '슈퍼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29)의 조국이다. 30일 뮌헨전 멀티골로 챔피언스리그 한 시즌 최다골 신기록(16골)을 쓴 그가 이날 신기록 행진을 이어갈지에도 기대가 높은 만큼 이날 경기는 레알 마드리드의 홈 경기나 다름 없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