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6.3℃
  • 박무대전 3.4℃
  • 맑음대구 3.0℃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13.9℃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2.6℃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PGA]'골프 명인 열전' 마스터스...우즈 불참으로 흥행 골머리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78번째 그린 재킷의 주인공은 누가 될까?' '골프 명인 열전'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마스터스 토너먼트가 오는 10일 오후(한국시간)부터 나흘 간 미국 조지아주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파72·7435야드)에서 열린다. 

시즌 첫 메이저 대회로 열리는 마스터스 토너먼트는 전 세계 골프 별들이 모두 모이는 대회다. 4개의 메이저 대회 가운데 역사는 가장 짧지만 출전자를 가장 엄격히 제한하고 있어 '메이저 위의 메이저'라고도 불린다. 

US오픈·브리티시오픈·PGA챔피언십이 매년 156명 정도로 출전자를 받고 있는 반면 마스터스는 매년 90~100명 수준으로 제한하고 있다. 올해는 97명이 출전한다.

19년 연속 개근하는 동안 통산 4회 우승을 차지한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39·미국)의 불참으로 이번 대회의 무게감이 떨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세계랭킹 2위 아담 스콧(34·호주)과 3위 헨릭 스텐손(38·스웨덴)을 비롯해 필 미켈슨(44·미국), 로리 매클로이(25·북아일랜드) 등 쟁쟁한 골퍼들이 빠지지 않고 출사표를 던지며 '그린 재킷'에 도전하고 있다. 

▲우즈 불참…흥행 참패 우려

우즈가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마스터스는 흥행에 큰 타격을 입었다. 허리 부상으로 시즌 초반 고생하던 우즈는 지난 2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마스터스 최종 불참을 통보했다. 

우즈는 1997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01년·2002년·2005년 등 총 4차례 정상을 맛봤다. PGA투어 첫 우승도 마스터스에서 일굴 정도로 인연이 깊은 대회가 마스터스다. 2009년 연말 섹스 스캔들로 구설에 올랐을 때에도 복귀 무대로 삼은 대회가 이듬해 열린 마스터스였다.

지난 2012년 공동 40위라는 실망스러운 결과를 내기도 했지만 지난해에는 나흘 내내 꾸준히 상위권에 머물면서 대회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렸다. 2라운드에서의 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공동 4위로 마쳤지만 수많은 갤러리를 몰고 다니며 '우즈 효과'를 보였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대회의 상징이자 간판인 우즈의 불참으로 시작부터 흥행에 골머리를 앓게 됐다. 오거스타 현지 숙박비와 암표 가격은 반토막이 됐다. 

▲'호랑이 없는 마스터스'…스콧 2연패 도전장

강력한 우승 후보가 빠진 가운데 '그린 재킷'의 주인공이 누가 될 것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선수는 단연 디펜딩 챔피언 스콧이다. 스콧은 지난해 호주 선수 최초로 그린 재킷을 입었다. 

스콧은 지난해 이 대회 우승을 바탕으로 세계랭킹 2위로 뛰어올랐다. 세계랭킹 1위 우즈의 뒤를 꾸준히 쫓아온 스콧이 대회 2연패에 성공하면 랭킹 1위까지 바라볼 수 있다. 스콧은 랭킹포인트 평점 8.4203점, 우즈는 평점 9.0697점이다. 격차는 불과 0.6494점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대회 2연패에 성공한 케이스가 많지 않은 것이 변수다. 1934년에 신설돼 올해로 78회째를 맞이하는 동안 잭 니클라우스(1965~1966년)·닉 팔도(1989~1990년)·우즈(2001~2002년) 등 3명 만이 2연패에 성공했을 뿐이다.

이 대회 세 차례 우승(2004·2006·2010년)을 경험한 미켈슨도 강력한 우승 후보 가운데 한 명이다. 2000년대 들어 가장 많은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허리 통증에 시달리고 있어 정상 컨디션이 아니라는 점이 변수다.

세계랭킹 9위까지 밀린 '차세대 황제' 매클로이가 이 대회와의 악연을 끊을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그는 2011년 대회 마지막 라운드에서 4타차 선두를 지키지 못하고 무너졌다. 최종일 트리플보기·더블보기 등으로 8타를 잃고 공동 15위로 떨어지는 악몽을 겪었다. 

2012년 공동 40위, 지난해 공동 25위에 랭크돼 유독 이 대회에서 힘을 쓰지 못했지만 지난주 전초전 성격으로 열린 셸 휴스턴오픈에서 자신감을 찾았다는 점이 반갑다. 최종일에 보기 없이 버디만 7개를 쓸어담는 샷감을 앞세워 공동 7위까지 끌어올리며 마스터스에서의 활약을 예고했다.

지난해 스콧에게 밀려 눈 앞에서 우승을 놓친 제이슨 데이(27·호주)가 올해 설욕전을 펼칠 수 있는가도 관심 포인트다. 최근 손가락 부상에서 돌아왔다. '단골 손님' 더스틴 존슨(30·미국)도 마스터스 때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코리안 브라더스 5명 출격 대기

이번 마스터스에는 5명의 한국(계) 선수가 출전 기회를 잡았다. 배상문(28·캘러웨이)·양용은(42·KB금융그룹)·존 허(24·한국명 허찬수)·최경주(44·SK텔레콤)가 초대를 받았다.

아마추어 이창우(21·한체대)는 지난해 아시아태평양챔피언십 우승자 자격으로 마스터스 출전권을 따냈다. 

지난해 PGA 투어 HP바이런넬슨에서 생애 처음으로 정상에 오른 배상문은 당시 우승으로 마스터스 출전권을 확보했다. 

양용은은 지난 2009년 PGA 챔피언십 우승으로 5년 간 마스터스 출전권을 보장받았다. 올해가 마지막이다.

지난해 마스터스에 출전해 공동 11위를 기록한 존 허는 공동 12위 이내 성적 기준을 충족시켜 올해도 마스터스행 티켓을 보장받았다.

최경주의 활약이 기대된다. 최경주는 지난해 1라운드를 공동 13위로 출발한 뒤 2라운드에서 공동 7위까지 뛰어오르며 우승 경쟁을 펼쳤다. 그러나 3~4라운드에서 뒷걸음질치며 최종 공동 46위로 마친 바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