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6.3℃
  • 박무대전 3.4℃
  • 맑음대구 3.0℃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13.9℃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2.6℃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세계피겨선수권]아사다, 김연아 세계기록 못 미치는 216.69점으로 우승

URL복사

박소연, 개인 최고점 경신으로 9위에 랭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자국에서 열린 세계선수권 쇼트프로그램에서 여자 쇼트 최고점을 경신했던 일본 피겨스타 '간판' 아사다 마오(24)가 무난히 우승을 차지했다.

아사다는 29일 일본 사이타나 슈퍼아레나에서 열린 2014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세계선수권대회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138.03점을 얻어 쇼트프로그램(78.66점) 합계 216.69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샛별' 율리아 리프니츠카야(16·러시아)가 207.50점으로 2위에 올랐고, 2014소치동계올림픽 동메달 리스트 캐롤리나 코스트너(27·이탈리아)가 203.83점으로 3위다.

아사다가 시니어 무대에서 세계선수권 정상에 선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 2008년 스웨덴 고덴버그에서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던 아사다는 2010년 이탈ㄹ아 토리노 대회에 이어 4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우승으로 자신의 마지막 올림픽이었던 소치동계올림픽에서 6위에 머물렀던 아픔을 씻어냈다. 현역 은퇴와 선수 연장 기로에서 중대한 결정을 앞두고 있는 아사다는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를 이번 세계선수권에서 마무리를 멋지게 장식했다.

아사다는 이틀 전 열린 쇼트프로그램에서 김연아가 2010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작성한 여자 싱글 역대 최고 기록(78.50점)을 갈아치워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자국에서 열리는 대회의 이점을 얻고 프리스케이팅 최고점까지 경신할 것인지도 관심사였다.

그러나 이날 열린 프리스케이팅에서는 소치동계올림픽에서 세운 자신의 최고점(142.71점)에 3점 이상 뒤져 '피겨여왕' 김연아(24)가 2010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세운 프리스케이팅 세계신기록(150.06점)과 종합 세계신기록(228.56점)에는 한참 못 미쳤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에 맞춰 연기를 시작한 아사다는 자신의 전매 특허이자 첫 점프 과제인 트리플 악셀에서 회전수 부족 판정을 받더니 이어진 트리플 플립-트리플 러츠 콤비네이션 점프에서도 계속해서 주어진 회전수를 다 채우지 못했다.

이어진 트리플 러츠에서는 롱에지(잘못된 스케이트날 사용)를 판정 받아 수행점수(GOE)에서 0.3점을 깎이는 등 실수가 계속됐다. 이후 트리플 플립-더블 토루프-더블 러츠 콤비네이션 점프에서도 회전 수 부족으로 GOE 0.7점을 감점 당했다.

그러나 세 차례 스핀과 한 번의 스텝을 모두 레벨 4로 인정 받아 우승을 지켜냈다.

은퇴한 김연아를 이을 재목으로 기대를 받고 있는 박소연(17·신목고)은 선전을 계속 이어갔다.

박소연은 이날 프리스케이팅에서 119.39점을 얻어 합계 176.61점으로 9위에 랭크됐다. 

쇼트프로그램에서 개인 최고점(57.22점)을 얻으며 기대감을 높였던 박소연은 프리스케이팅에서도 자신의 종전 ISU 공인 최고 기록(106.80점)을 10점 이상 뛰어 넘으며 활짝 웃었다.

하지만 동갑내기 라이벌로 꼽히는 김해진(17·과천고)는 프리스케이팅에서 77.99점에 그쳐 기대에 못 미쳤다. 합계 129.82점으로 총 23명 출전 선수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