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6.3℃
  • 박무대전 3.4℃
  • 맑음대구 3.0℃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13.9℃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2.6℃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PGA]재미동포 케빈 나, 텍사스오픈 2R...2타 줄여 공동 6위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재미동포 케빈 나(31·한국명 나상욱·타이틀리스트)가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발레로 텍사스오픈(총상금 620만 달러) 둘째 날 꾸준한 플레이로 상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케빈 나는 29일(한국시간)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TPC 오크스 코스(파72·7435야드)에서 열린 대회 2라운드에서 2타를 줄여 중간합계 4언더파 140타 공동 6위에 랭크됐다.

공동 12위라운드를 출발한 케빈 나는 이날 3개의 버디를 성공하는 동안 보기는 1개로 막아 순위를 6계단 끌어올렸다. 선두와는 4타 차로 남은 라운드 결과에 따라 우승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은 열려 있다.

발스파 챔피언십(준우승)·아놀드파머 인비테이셔널(공동 14위) 등 올 시즌 11개 대회에서 4차례 톱10 진입을 일군 케빈 나는 꾸준한 플레이를 선보이며 시즌 첫 우승을 향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케빈 나는 1번홀(파4)에서 첫 버디를 잡아내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다. 완벽한 티샷과 어프로치로 투 온에 성공한 케빈 나는 4m 남짓의 쉽지 않은 버디퍼트를 홀컵에 떨궜다.

나머지 홀에서 파 세이브 행진을 벌인 케빈 나는 7번홀에서 1타를 까먹으며 주춤했다. 두 번째 샷을 그린 끝에 올리는 데 성공했지만 5m 거리에서 시도한 파 퍼트가 홀컵 앞에서 멈춰 보기를 냈다.

8번홀을 파로 막으며 숨을 고른 케빈 나는 9번홀(파4)에서 그린 끝에서 시도한 6m 거리의 버디 퍼트를 성공해 앞서 잃은 1타를 만회했다. 후반홀에서도 파 행진을 벌인 케빈 나는 17번홀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2라운드를 마쳤다.

중위권에서 출발한 제임스 한(33·한재웅)은 2타를 줄여 상위권으로 뛰어올랐다. 중간합계 3언더파 141타를 적어냈다. 10번홀에서 출발한 제임스 한은 보기 1개와 버디 3개를 묶어 순위를 대폭 끌어올렸다.

스티븐 보우디치(31·뉴질랜드)는 신들린 듯한 샷을 앞세워 리더보드 꼭대기를 차지했다. 5언더파의 맹타를 휘두른 보우디치는 중간합계 8언더파 136타를 기록, 단독 선두에 올랐다.

세계랭킹 339위의 보우디치는 이날 더블 보기 1개를 기록하고도 이글 1개, 버디 5개를 쓸어담으며 경쟁자들을 따돌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