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6.3℃
  • 박무대전 3.4℃
  • 맑음대구 3.0℃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13.9℃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2.6℃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K리그]FC서울, 팀의 주축 모두 활용...고대하던 첫승 신고

URL복사

[시사뉴스 김창진 기자] 정규리그 '첫 승' 부담감을 털어낸 FC서울이 본격적인 승수쌓기에 도전한다. 

서울은 오는 29일 오후 2시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울산현대와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1부 리그) 2014 5라운드 원정경기를 치른다. 

정규리그 개막 후 3경기 연속 무승(1무2패) 부진에 시달리던 서울은 지난 26일 제주유나이티드전(2-0 승)에서 고대하던 마수걸이 승리를 신고했다. 

올 시즌 정규리그 첫 골도 나왔다. 고요한과 윤일록이 연속골을 터뜨리며 답답했던 최용수 서울 감독의 가슴을 시원하게 만들었다. 

서울에 올 시즌 정규리그 첫 승의 의미는 크다. 서울은 시즌 개막을 앞두고 데얀(장수 세인티)·하대성(베이징 궈안)·아디 등 팀의 주축들을 대거 내보냈다. 

전술에도 변화를 줬다. 포백을 사용했던 서울은 현재 스리백으로의 전환을 시도 중이다. 

과도기를 겪고 있는 서울에는 승리가 보약이었다. 최 감독도 매 경기를 앞두고 취재진과 만날 때면 "구성원과 전술이 크게 바뀐 데 반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다"며 "일단 첫 승·첫 골만 기록하면 선수들이 부담감을 털어내고 훨씬 좋은 경기를 펼칠 수 있을 것"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다행히 지난 시즌(개막 후 7경기 연속 무승)보다는 훨씬 일찍 부진에서 탈출했다. 그동안 꾸준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며 나쁘지 않은 경기력을 과시해온 만큼 서울은 '본격적인 승수쌓기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투지를 불태우고 있다.

내친김에 올 시즌 첫 연승까지 노리고 있는 서울은 강호 울산과 격돌한다. 쉽지 않은 상대다. 

서울은 최근 울산과의 대결에서 3연패를 기록 중이다. 골도 넣지 못했다. 역대 전적에서도 46승45무52패로 열세다. 

원정경기라는 점도 서울에는 부담이다. 서울은 지난해 9월 이후 치른 원정경기에서 4무3패라는 초라한 성적을 거뒀다. 여러모로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울산은 개막 후 3연승을 달리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지난 26일 전남드래곤즈와의 4라운드에서 시즌 첫 패를 당했다. 당시 전반 6분 만에 스테보에게 선제골을 허용해 0-1로 무릎을 꿇었다. 

시즌 초반 물오른 골감각을 과시하던 김신욱(울산)도 지난 전남전에서 정규리그 연속골 행진을 3경기 째에서 마감했다.

울산은 여전히 리그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전남전에서의 좋지 않은 기억을 지우고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해선 서울과의 홈경기에서 반드시 승리를 챙겨야 한다. 이번 경기에서 승리한다면 서울에 '울산 징크스'를 안길 수도 있다. 

포항스틸러스는 29일 오후 2시 포항스틸야드에서 상주상무와 대결을 펼친다. 

포항은 지난 26일 '우승후보' 전북현대를 3-1로 완파하며 무서운 저력을 과시했다. 시즌 첫 연승까지 달성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챌린지 초대 챔피언 상주를 안방으로 불러들이게 된 포항은 클래식 챔피언의 힘을 보여주겠다는 각오다. 

승격 후 4무를 기록 중인 상주는 '디펜딩 챔피언'을 제물 삼아 화끈한 첫 승 파티를 벌일 준비를 하고 있다. 

◇ K리그 클래식 1라운드 일정(29~30일)

▲29일(토)
울산-서울(울산문수축구경기장)
포항-상주(이상 오후 2시·포항스틸야드)
전북-성남(오후 4시·전주월드컵경기장)

▲30일(일)
인천-전남(인천전용구장)
제주-경남(이상 오후 2시·제주월드컵경기장)
수원-부산(오후 4시·수원월드컵경기장)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