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신규확진 677명, 평일 다시 600명대…누적 확진자수 14만1476명(종합)

URL복사

 

1주간 일평균 524.9명…13일째 조금씩 감소세
사망자 2명 늘어 1965명…위·중증 환자 151명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하루 677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평일 검사량이 반영되면서 200명 이상 급증해 6일 만에 600명대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654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23명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일 0시 기준 국내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677명 증가한 14만1476명이다.

신규 확진자 수는 검사량이 감소하는 주말 영향으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3일 연속 400명대(480명→430명→459명)에 머물렀지만, 평일 검사 결과가 반영되는 수요일 600명대로 급증했다.

진단검사 후 통계에 반영되기까지 1~2일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이날 확진자는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이틀간 검사 결과로 풀이된다. 이틀간 선별진료소와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진행된 검사는 각각 7만3192건, 8만1106건이다.

일주일간 국내 발생 확진자는 620명→571명→505명→464명→411명→449명→654명이다.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직전 1주 576.3명보다 50명 이상 감소한 약 524.9명이다. 지난달 21일부터 13일째 500명대에서 차츰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지역별로 서울 256명, 경기 188명, 인천 19명 등 수도권에서 463명(70.8%)이 발생했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191명(29.2%)이다. 시·도별 확진자는 대구 39명, 대전 23명, 부산·경남 각 19명, 울산·강원·제주 각 14명, 전북·전남 각 10명, 경북 9명, 충남 7명, 광주·충북 각 5명, 세종 3명이다.

 

권역별로 경남권 52명, 경북권 48명, 충청권 38명, 호남권 25명, 강원·제주 각 1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권역별 일주일간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수도권 354.4명, 충청권 41.1명, 경남권·경북권 각 40.1명, 호남권 24.3명, 강원 12.6명, 제주 12.1명 등 비수도권 170.4명이다.

 

 

수도권 학교·병원서, 비수도권은 유흥시설 중심으로 확산세

 

지난 1일 오후 6시 기준 서울에서는 23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집단감염 사례별로 강북구 고등학교 관련 9명, 강동구 종교시설 관련 2명, 송파구 가락시장 관련 1명, 강남구 실내체육시설 관련 1명이다. 기타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된 확진자도 12명 발견됐다.

경기에서는 이날 0시 기준 부천시 견본주택, 화성시 요양병원 관련으로 2명씩 확진자가 나왔다. 서울 강동구 노래연습장과 강남구 병원, 고양 일산동구 교회, 경기 광주시 육류가공업체2, 수원시 교회, 양주시 지인, 이천시 축산물가공업체 등 관련으로도 1명씩 추가로 확진됐다.

인천에선 부평구 종교시설 관련 1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됐다.

부산에서는 남구 의료기관 관련 방문자 2명과 접촉자 3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진구 초등학교 접촉자 검사에서도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울산에서는 남구 유흥주점 관련으로 1일부터 2일 오전 사이 3명이 추가로 감염자가 나왔다.

경남 김해에서는 노래연습장과 유흥주점, 외국인 모임 관련으로 2명씩 6명의 집단감염 확진자가 추가로 나왔다. 양산 유흥주점 관련으로도 2명이 확진됐다.

대구에서는 달서구 사업장 관련 8명, 수성구 일반주점 관련 6명, 구미·울산 지인 및 대구 유흥주점 관련 4명, 달성군 이슬람 기도원 관련 3명, 서구 소재 유통회사와 달서구 지인 모임으로 각 1명 등이 확진 판정됐다.

유흥업소발 감염이 이어지는 경북 김천에서는 이날도 유흥업소와 관련해 3명이 확진됐다.

대전에서는 골프 모임 집단감염 지표환자가 방문한 식당 관련 확진자 3명, 해외 유입 확진자와 접촉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날 확진자의 가족 3명 등이 감염됐다.

세종에서는 집단감염이 발생한 식품제조가공업체 관련 확진자 가족 1명이 자가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충북 충주에서는 외국인 감염 관련 1명이 확진됐다. 진천에서는 지난달 27일 확진자의 직장 동료인 외국인 1명, 청주에선 직장 감염 확진자의 가족 1명이 각각 양성 판정됐다.

충남 아산에서는 사업장 관련 선제검사에서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산에서는 지난달 30일 확인된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의 접촉자 3명이 잇따라 확진됐다.

광주광역시에서는 확진 판정을 받은 대학생의 접촉자를 비롯해 다른 지역 확진자와 접촉한 친척, 직장 동료 등 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가족 관련 집단감염이 확산 중인 전북 김제에선 이날 10세 미만 2명과 30대 1명 등 3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전주에서는 인천 확진자와 접촉한 3명에게서 감염이 확인됐다.

전남 순천에서는 지난달 말 시내 소재 호프집 관련 감염이 퍼져 8명이 감염자가 나왔다. 여수와 신안에선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가 1명씩 나왔는데, 신안 확진자 1명은 최근 화이자 백신을 1차 접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 태백에서는 지인 식사 모임 등으로 감염이 퍼져 5명이 확진됐다. 동해에서는 지난달 23일 첫 확진자가 나온 공장 관련해 근무자와 가족 등 4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됐다.

전날 오후 5시까지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제주에서는 기존 확진자의 접촉자와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4명씩 나왔다.

 

 

코로나19 사망자 2명 늘어·치명률 약 1.39%…위·중증 151명

 

해외 유입 확진자 23명 중 공항과 항만 검역에서 9명, 지역사회에서 격리 중 14명이 확진됐다. 내국인은 6명, 외국인은 17명이다.

유입 추정 국가는 인도·미국·캐나다 각 4명, 인도네시아 3명, 필리핀·방글라데시·러시아·우즈베키스탄·요르단·키르기스스탄·폴란드·영국 각 1명이다.

코로나19로 숨진 사망자는 2명 늘어 누적 1965명이다.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인 치명률은 약 1.39%다.

현재 격리 치료 중인 확진자는 전날보다 70명 늘어 7443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7명 줄어든 151명이다.

치료를 받고 격리에서 해제된 확진자는 605명 증가해 누적 13만2068명이다. 확진자 중 격리 해제 비율은 93.35%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