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산업생산과 소비가 세월호 참사 여파에서 벗어나 조금씩 호전되고 있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매업지수(표 참조)는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하지만 소매지수는 무점포와 승용차·연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월보다 마이너스를 기록했다.인터넷쇼핑 등 주로 소액을 결제하는 곳은 조금 나아졌지만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매출은 여전히 위축된 상황이다.백화점 소매지수는 전월보다 3.8% 감소했다. 전년동기보다는 8.1% 떨어졌다. 특히 대전 등 일부 지역 백화점은 여름정기세일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실패했다.대형마트와 슈퍼마켓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대형구매에서 벗어나 필요한 것만 조금 구매하는 풍토가 굳어졌다.대형마트 소매지수는 전월보다 3.5% 줄었고, 전년동월보다는 1.5% 감소했다. 슈퍼마켓은 전월비 2.1%의 감소세를 나타냈다.음식료품·의복·화장품 등 특정상품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소매점도 부진했다.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3%를 각각 기록했다.무점포판매 소매지수는 전년동월보다 2.9% 상승했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인터넷쇼핑에 의존했다. 홍쇼핑(-3.8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30대 그룹 상장사 CEO의 평균 재임 기간이 2.6년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경영인 3명 중 2명은 임기 3년도 채우지 못했고, 6명 중 1명은 재직기간이 1년에도 못 미쳤다.30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000년 1월1일 이후 신규 선임됐다 퇴임한 30대 그룹 상장사 전문경영인(대주주 일가 제외)의 재임기간을 조사한 결과, 총 576명의 CEO가 평균 2.63년을 재임한 것으로 나타났다.30대 그룹 상장사 CEO 평균 재임기간이 가장 긴 곳은 대우조선해양이었다. 그룹 내 유일한 상장사인 대우조선해양에 2000년 이후 선임된 CEO는 2명이었고 평균 임기는 5.34년(각각 4.61년, 6.07년)이었다.동국제강은 3.98년으로 2위를 기록했고, LG(3.94년), OCI(3.74년), 한진(3.38년) 순으로 '톱 5'를 차지했다.신세계(3.35년), 대림(3.24년), LS(3.23년), 현대백화점(3.22년), 현대중공업(3.20년), 대우건설(3.09년) 등도 상법상 등기임원 임기 3년 이상을 채웠다.반대로 CEO 재임기간이 가장 짧은 곳은 효성이었다. 효성은 5개 상장 계열사에서 17명의 전문경영인이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자료에 따르면 7월 제조업의 업황BIS는 74로 전월(77)보다 3포인트나 떨어졌다.BSI는 기업의 현재 기업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해 경기 동향을 파악하고 전망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수다. 기준치인 100을 하회하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100 이상이면 그 반대다.이 지수는 올해 들어 꾸준히 오르다가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5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 지수는 ▲1월 76 ▲2월 78 ▲3월 81 ▲4월 82 ▲5월 79 ▲6월 77 등이다.기업 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6월보다 각각 2포인트, 3포인트씩 떨어졌다. 수출기업은 전월과 같은 수준이었지만 내수기업은 5포인트나 하락했다. 내수 부진의 심각성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세부 항목별로는 매출BIS(84)와 채산성BIS(88) 모두 한 달전보다 2포인트 내렸고 자금사정BIS(86)가 1포인트 하락했다.제조업 경영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 환율 등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농업보조금을 부당 사용하다가 3회 적발되면 지원 자격을 영구 박탈된다.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보조금제의 신뢰 하락을 막기 위해 이같은 방향으로 지원관리체계를 개편한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대책은 농식품부가 지난 2월 발표한 '농업보조금 집행 비정상의 정상화'에 이은 추가 보완대책이다.우선 보조금 집행단계에서 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 보조금 부당사용으로 지원이 제한된 농가와 농업기계·장비가격 등 보조사업의 집행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9월중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농식품부는 지자체 등이 보조금 부당사용에 따른 지원제한 대상을 결정할 때 관련정보를 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 등록케 함으로써 부적격자의 보조금 수령을 차단할 방침이다.또한 지자체에서 입찰방식이나 농협의 계통구매와 같이 공정한 가격결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구매한 농업기계·장비의 거래가격정보는 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고가구매 및 보조금 횡령을 막을 예정이다.일정 금액 이상의 기계·장비·시설은 정해진 단가내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표준단가제가 확대 적용된다. 또한 입찰구매 확대를 통해 적정가격 형성이 유도된다.사후관리 단계에서는 지자체가 사후관리하는 8만5000여건의 보조재산부터 정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동양사태로 손실을 본 투자자 1만6000여명에 대한 배상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분쟁조정위원회가 31일 열린다.금융감독원은 31일 분쟁조정위원회를 열어 동양그룹 회사채와 기업어음(CP)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투자자들에 대한 배상비율을 결정한다.분쟁조정을 신청한 사람은 2만1000명을 넘어섰지만, 이번 분쟁조정위원회에는 2월까지 조정을 신청한 사람 중 1만6000여명에 대한 조정건만 상정된다. 2월 이후에 분쟁조정을 신청했거나, 조사 미비로 이번 조정에서 제외된 사람들은 추가 조정 대상자다.금감원 관계자는 30일 "2월까지 조정을 신정한 사람이 2만1000명인데 중복 접수자, 소송 제기자, 취하한 사람 등을 제외하고 1만6000명에 대한 안건만 상정된다"며 "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금감원은 대규모 분쟁조정인 것을 감안해 피해자를 부당권유, 설명의무 위반, 일임매수 등 유형별로 나눈 후 유형별 배상비율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배상비율은 분쟁조정위원들이 결정한다. 분쟁조정위원회는 30인 이내로 구성되며, 통상 7~11명의 위원이 회의에 참석한다. 과반수 출석과 과반수 찬성으로 배상비율이 최종 결정된다.금감원 관계자는 "분쟁조정위 회의에서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2분기 상업용부동산 공실률은 오피스빌딩 12.2%, 매장용빌딩 10.5%로 전기대비 각각 1.1%p, 0.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오피스빌딩은 전기대비 공실률이 상승한 가운데, 경남(7.5%)·제주(8.1%)를 제외한 전 지역이 10% 이상을 기록했다. 매장용빌딩은 역시 전기대비 소폭 상승한 가운데 서울은 전기대비 0.1%p 하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낮은 7.3%를 기록했다.이는 기업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점포 축소 등 임대수요 감소와 마찰적 공실의 영향으로 분석된다.국토교통부는 30일 전국의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2014년 2분기 ▲공실률 ▲임대가격지수 ▲투자수익률 ▲임대료 등의 임대시장동향을 조사·발표했다.표본조사는 오피스빌딩의 경우 전국의 6층 이상, 임대면적 50% 이상인 업무용빌딩(824동)을 기준으로 했고, 매장용빌딩은 전국의 3층 이상, 임대면적 50% 이상인 빌딩 2331동을 표본으로 삼았다.◇'임대가격지수' 오피스빌딩 울산, 매장용빌딩 서울·부산·대구 각각 상승올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가격지수는 오피스빌딩은 하락하고, 매장용빌딩은 보합인 것으로 나타났다.임대가격지수는 가격변동을 피하기 위해 시장임대료(거래가능가격)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최경환 경제팀이 8월 초 발표할 예정인 '2015년도 세법개정안'은 정부의 확장적 거시정책을 뒷받침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기업들이 사내에 유보해 둔 이익을 투자와 고용, 배당을 통해 외부로 흘러가도록 하고 가계소득을 늘려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것이다.재정 건전성을 위해 비과세·감면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정책 기조에는 변화가 감지된다. 올해 일몰이 도래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 등은 한시적으로 연장될 것으로 알려졌다.정부는 현 시점에서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보다는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중장기적으로 세수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균형재정 달성 시기를 1~2년 늦추더라도 경기를 부양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보고 있다.◇내수 활성화 위해 '3대 패키지' 세제 도입내년도 세법개정안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내놓은 '근로소득증대세제', '기업배당촉진세제', '기업소득환류세제' 등 3개 세제다.3대 패키지 세제에는 기업 이익을 가계로 흘러가도록 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정부는 '근로소득증대 세제'를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해 기업들의 임금 인상을 유도할 계획이다.최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30일 오전 10시1분께 지하철 1호선 구로역 내 화장실에서 불이 나 16분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현재 구로역 상·하행선 열차가 운행이 모두 중단됐다.코레일은 안전 상태를 모두 점검한 뒤 열차 운행을 재개할 예정이다.코레일 관계자는 “인명피해는 파악되지 않았다”며 “화재 직후 역을 지나던 열차는 무정차 통과했고 이후 열차 운행을 전면 중단했다”고 말했다.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MBC TV 월화드라마 '트라이앵글'이 전국 기준 시청률 10.5%로 끝났다. 자체 최고 시청률이다.30일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방송된 '트라이앵글'의 마지막회는 수도권에서 12.2%로 가장 많이 봤다. 서울이 11.2%, 대전이 5.9%로 가장 낮았다.같은 시간 방송한 SBS TV '유혹'과 KBS 2TV '트로트의 연인'은 각각 8.9%, 8.2%였다.'트라이앵글'의 5월5일 첫 방송 시청률은 8.9%, 평균 시청률은 8.0%였다.'트라이 앵글'은 드라마 '올인'(2003) '태양을 삼켜라'(2009)를 함께한 최완규 작가와 유철용 PD가 5년 만에 다시 만나 의기투합한 드라마다.부모를 잃은 삼형제가 이십년이 넘는 세월을 뿔뿔이 흩어져 지내다가 다시 만나 형제의 인연을 이어가는 이야기다. 이범수, 김재중, 임시완, 백진희, 오연수가 출연했다.후속으로 8월4일부터 정일우, 고성희, 유노윤호, 서예지 등이 나오는 '야경꾼 일지'가 방송된다
[시사뉴스 김한나 기자] 아내의 외도를 코앞에서 목격하고도 무심한 듯 돈뭉치를 던진다. 그러고는 '집'과도 같은 '전진호'로 돌아와 잠을 청한다. 선장 '철주'에게 '전진호'는 쉴 수 있는 유일한 안식처다. 낡아빠진 어선이지만, 이마저도 잃어버리면 갈 곳이 없다.배우 김윤석(46)은 영화 '해무'에서 끝없는 상실감에 빠졌다. 사랑하는 '전진호'가 감척 사업 대상이 되자 사람을 낚는 일(밀항자를 나르는 일)의 유혹에 빠진 게 화근이었다. 한 가족이었던 선원들의 신뢰가 삐걱대기 시작하고 밀항자들에게 문제가 생기자 '철주'는 윤리를 무시한 '악마'로 변해간다.김윤석은 "이 영화는 밀도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요즘에는 흔치 않은 사람 이야기가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봉준호 감독이 제작한 이 영화는 '살인의 추억'의 시나리오를 쓴 심성보 감독의 연출작이다. 그러나 감독과 제작자에게 기울어 출연을 결정한 것은 아니다. 잘 짜인 시나리오가 좋았다. 원작인 연극 '해무'도 인상적이었다.영화 '추격자' '황해'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중 가장 센 캐릭터이기도 하다. "선장이라는 사람은 총대를 메야 한다. 영화 '얼라이브'를 보면 인육을 먹는다. 그
[시사뉴스 김한나 기자] 지난해 록 페스티벌의 열기를 설명한 곡이 안산밸리록페스티벌을 찾은 밴드 '펀(FUN).'의 '위 아 영(We are young)'이었다면, 올해는 미국 록밴드 '보이스 라이크 걸스(Boys Like Girls)'의 '더 그레이트 이스케이프(The Great Escape)'가 후보다."그걸 갖다 버려. 어제는 잊어버려. 우린 대탈주를 할 거니까. 그들이 하는 말을 듣지 않겠어. 어쨌든 그들은 우리를 모르잖아. 그게 타버리는 걸 봐. 그냥 죽게 내버려두라고. 우리는 드디어 자유니까. 오늘 밤."(Throw it away. Forget yesterday. We'll make the great escape. We won't hear a word they say. They don't know us anyway. Watch it burn. Let it die. Cause we are finally free tonight.)밴드 이름, 곡 제목이 낯설다고 해도 당신은 이 곡을 들었을 확률이 높다. 당신이 축구를 좋아한다면, SBS스포츠가 내보내는 EPL 경기 하이라이트에서, 게임 '스타크래프트' 좋아한다면 스타리그 중계방송에서, 탤런트 이민호의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걸그룹 '걸스데이' 민아(21)가 축구스타 손흥민(22·레버쿠젠)과 사귀고 있다.민아의 소속사 드림티엔터테인먼트는 29일 "민아가 손흥민 선수와 좋은 감정으로 2회 만났다. SNS를 통해 친분을 쌓다 손흥민 선수가 독일 소속팀으로 복귀하기 전 좋은 감정으로 만나기 시작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민아는 이제 막 좋은 감정으로 시작하는 단계에서 언론에 공식화되는 것이 곧 리그가 시작되는 손흥민 선수나 현재 활동 중인 걸스데이에 누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앞서 민아와 손흥민이 함께있는 사진과 함께 이들이 최근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는 설이 나왔다. 사진 속 두 사람은 서로 손을 잡고 있고, 민아는 꽃다발도 안고 있다.민아는 걸스데이의 EP 앨범 '걸스 데이 파티(Girl's Day Party) #1'으로 데뷔했다. '기대해' '여자 대통령' '섬싱(Something)' 등을 통해 인기를 얻었다. 최근 신곡 '달링'으로 활동 중이다.손흥민은 2010년 독일 분데스리가 함부르크에서 프로로 데뷔했다. 올해 브라질월드컵 한국대표팀에서 욕을 먹지 않은 거의 유일한 선수이기도 하다.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한국 여자청소년(18세 이하) 핸드볼대표팀의 주전 라이트백 유소정(18·의정부여고)은 쉴 틈이 없다.오세일(47)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마케도니아에서 열리고 있는 제5회 세계여자청소년선수권대회에서 2008년 제2회 대회(6위) 이후 6년 만에 8강 진출에 성공했다.주니어(20세 이하)대표팀에서도 뛴 에이스 유소정의 존재감이 대단했다.일본과의 16강전에서 12골을 기록한 유소정은 개인 득점 순위에서 56골로 전체 1위를 달리고 있다. 잡았다 하면 한 골이다.그의 활약에 더욱 눈길이 가는 것은 살인적인 일정 때문이다.유소정은 앞서 한국의 첫 우승으로 막을 내린 세계여자주니어(20세 이하) 선수권대회에서 태극마크를 달고 언니들과 함께 했다. 지난 15일 크로아티아에서 귀국한 이후, 하루밖에 쉬지 못하고 17일에 또 마케도니아행 비행기에 오른 것이다.청소년대표팀 일원 중 유일하다.유소정은 "6월2일 주니어대표팀 소집 때부터, 하루 집에 다녀온 것을 빼면 계속 핸드볼만 하고 있다"면서도 "즐겁게 하고 있다"고 했다. 두 달 가까이 핸드볼만 했다.주니어대표팀에서는 막내였다. 그러나 활약은 언니들 못지 않았다.이효진(20·경남개발공사)이 대회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