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12.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많음서울 13.8℃
  • 맑음대전 12.9℃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3.6℃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6.0℃
  • 맑음제주 15.3℃
  • 구름조금강화 15.0℃
  • 맑음보은 9.8℃
  • 맑음금산 11.0℃
  • 맑음강진군 11.6℃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e-biz

윤관석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구글 미카엘라 브라우닝 아시아-퍼시픽 대외정책 총괄 면담

URL복사

“인앱결제 강제 정책 유지에 대한 우려 표명”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윤관석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남동을, 더불어민주당)은 2일(금) 오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실에서 구글의 미카엘라 브라우닝 Michaela Browning 아시아-퍼시픽 대외정책 총괄과 면담을 진행했다.

 

윤 위원장은 최근 카카오톡 앱 업데이트 중단 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 대한민국 국회와 정부가 인앱결제 강제를 금지하는‘전기통신사업법’을 개정한 이후에도 인앱결제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구글의 최근 행보에 우려를 표했다.

 

윤 위원장은 “‘인앱결제 강제 금지 법안’이 시행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구글의 인앱결제 유지 정책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중의 하나인 카카오톡 업데이트 중단 사건들이 발생한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하고, “좀 더 다양한 콘테츠를 활용하게 하고 소비자 이익 중심의 관점에서 인앱결제 문제가 조속히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미카엘라 브라우닝 부사장은 “앱 개발자들의 성공은 구글의 성장과 직결되어 있다”며, 인앱결제 관련 "규제 당국에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로 협조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윤관석 위원장은 구글이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하는 창구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는 점에 대해 감사의 표시를 전하면서, 앞으로도 K-컨텐츠의 세계화 등 한국의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해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윤관석 위원장은 “최근 많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홍콩을 대체할 수 있는 아시아 투자처를 찾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국은 디지털 경제 경쟁력을 가진 우수한 투자 환경을 갖추고 있다”, “구글의 한국 투자가 확대되어 우리나라 디지털 무역의 영역이 더욱 넓어지길 기대한다”며 구글의 한국투자 확대를 적극 요청했다.

 

이에 대해 미카엘라 브라우닝 부사장은 “지금 한국은 아주 막대한 성장 기회가 열리고 있는 매력적인 투자처”라며 “다만 이를 가로막고 있는 규제들이 존재한다”는 아쉬움을 드러내며 규제개선과 관련한 국회 차원의 많은 관심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