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7℃
  • 구름많음강릉 23.3℃
  • 구름조금서울 19.6℃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19.3℃
  • 맑음울산 21.4℃
  • 맑음광주 19.7℃
  • 맑음부산 19.0℃
  • 맑음고창 20.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19.2℃
  • 맑음경주시 22.0℃
  • 맑음거제 20.3℃
기상청 제공

박성태 직론직설

【박성태 칼럼】 저마다의 방식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실천 중…일방적 잣대 들이대면 곤란

URL복사

경북 의성과 청송, 울산, 포항 영덕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단체를 통한 국민성금이 지난달 28일 기준 550억 원을 넘어섰다.

 

삼성, LG, SK,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도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인 정국, 임영웅, 아이유 등 유명 가수, 배우 등 연예인들과 손흥민, 이정후 등 스포츠맨, 백종원, 이연복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기부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각지에서 모인 기부금은 553억7,000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기부 단체는 경남 산청·하동과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기부금을 사용한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특히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의 기부가 줄을 이었는데 때아닌 기부 미참여, 기부금 소액 논란 등으로 훈훈한 기부문화 확산에 찬물을 끼얹는 일들이 벌어져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유명인들의 기부금액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을 만들어 놓고 “000은 왜 기부를 하지 않냐?”며, 노골적으로 기부강요를 했고, 이런 글에 1,000개 넘는 댓글들이 붙으며 돈도 많이 벌면서 기부는 안하는 몰염치한 사람들이라고 치부했다. ‘000’에는 손흥민(2억 원), 블랙핑크의 제니(1억 원), 엑소의 백현(2억 원) 등이 거론됐는데 이들이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자 해당 커뮤니티에서는 글을 삭제됐다.

 

심지어는 기부금액이 적다며 공개적으로 기부자를 비난하는 일도 발생했다. 그룹 코요태는 지난달 26일 울산·경북·경남 지역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써 달라며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성금 3,000만 원을 기부했는데, “유명한 다른 연예인들은 돈을 많이 냈는데 너네는 셋이서 그것밖에 안 내냐”는 악플에 시달리기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대기업도 아닌 중견기업인 애터미 주식회사(글로벌마케팅기업‧회장 박한길)가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김병준)에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성금 100억 원을 기부한 것은 꼭 돈이 많아서가 아니라 기부자가 평소에 가진 노블리스 오블리제에 대한 철학과 소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애터미는 지난 2019년에도 한부모 가정을 위한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맘(MOM)’ 기금으로 100억 원, 취약 계층 지원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100억 원을 쾌척하기도 했다.

 

거액의 기부금을 쾌척하지는 않았지만 정치인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산불피해 주민을 위해 살신성인의 모습을 보여준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과 산불기부금 10만 원을 내기 위해 노력한다는 전 기업체 대표, 지역호텔을 운영하면서 산불피해자들에게 무료숙식을 제공한 호텔경영인을 보면서 저마다의 기부방식를 통해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하고 있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원희룡 전 장관이 안동 산불피해 현장에 지난달 26일 도착해 일주일째 산불피해현장을 떠나지 않고 매일 새벽 6시에 나와 새벽부터 밤까지 밥차 배식봉사와 이재민 일손돕기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 누리꾼이 “원희룡이 며칠째 집에 안가고 봉사활동하는데 와서 사진만 찍고 가는 정치인들과는 다르다”고 밝히면서 알려졌다.

 

명문고 명문대학을 졸업해 기업체 대표로 한때는 상위 5%에 해당하는 삶을 영위하다가 사업 실패로 지금은 기초수급자(월 70만 원 수령)로 살아가는 A씨는 산불피해 소식을 접하자마자 각 지상파 방송의 성금모금전화(1통에 1만 원)에 전화를 걸어 5만 원을 기부했고, 추가로 5만 원을 더 기부하겠다고 한다. 그는 ‘국경없는의사회’ ‘유니세프’ 등 5개 단체에도 매달 2만 원씩, 총 10만 원을(총 수입의 7분의1) 매달 기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불로 긴급대피한 안동산불 이재민과 산불진화 공무원 180여 명을 위해 객실예약객들에게 취소 양해를 구하고 지난 24일부터 29일까지 객실과 아침 뷔페를 무료 제공한 안동 리첼호텔. 이밖에도 더본 코리아의 백종원 대표, 흑백요리사에 출연했던 명장요리사 안유성씨, 중식세프 이연복 씨등이 자발적으로 이재민들에게 식사봉사에 나서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가 진정한 기부문화이고 노블레스 오블리제 실천이 아닌가. 알량한 잣대로 선의의 기부자들을 폄훼하고, 기부미참여자들에게 독설을 퍼붓는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 관계자들은 이번 산불과 관련해 얼마를 기부했고, 피해복구와 이재민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묻고 싶다.

 

글쓴이=시사뉴스 박성태 대기자

 


 

 

연세대학교 졸업 행정학  박사   

전 파이낸셜뉴스 편집국 국장  

전 한국대학신문 대표이사 발행인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