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7℃
  • 구름많음강릉 23.3℃
  • 구름조금서울 19.6℃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19.3℃
  • 맑음울산 21.4℃
  • 맑음광주 19.7℃
  • 맑음부산 19.0℃
  • 맑음고창 20.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19.2℃
  • 맑음경주시 22.0℃
  • 맑음거제 20.3℃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中상무부 "한중 FTA 2단계 협상서 긍정적 진전 거뒀다"평가

URL복사

 

중국 전문가 "양국 간 정치적 신뢰 증대"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중국 상무부가 한국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 수석대표 간 화상회의에서 "긍정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중국 상무부는 발표문에서 지난 26일 화상으로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FTA 2단계 협상 수석대표 회의를 열었다며 "한중 FTA 2단계 협상은 중국이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첫 서비스·투자 협상"이라며 서비스 무역과 투자 규정, 시장 개방에 대해 추가 협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한중 FTA는 2015년 12월 발효됐다. 양국간 2단계 협상은 2017년 12월 시작됐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26일 정상통화에서 한중 FTA 2단계 협상을 서두르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한중 양국은 이번 회의를 통해 양국 간 정치적 신뢰 증대를 보여주고 있다며 이는 협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둥샹룽 중국사회과학원 국제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협상의 실질적 초기 성과를 부각한 것은 양국 간 서비스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 수준을 더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술 무역 장벽과 지식 재산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특히 핵산 검사와, 백신 연구 및 생산에 관한 헙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둥 연구원은 또 중국과 한국이 경제적으로 밀착하며 매우 중요한 양자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를 들어 한국 정부는 코로나19를 정치화하는 대신 실용적인 자세로 대유행에 대처했다. 양국은 '패스트 트랙' 입국 제도를 승인했다. 이는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전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둥 연구원은 "과거에는 중국과 한국의 무역 구조가 주로 상호 보완적이었다"며 "그러나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두 나라는 정보기술, 조선, 철강, 자동차, 스마트폰 등 여러 분야에서 경쟁하는 구도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한국이 보다 긴밀한 무역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동아시아의 산업망 및 공급망 안정을 더욱 증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