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연주회 '박은희의 전람회 산책 - 작곡가의 초상화'... 음악과 미술의 만남 주제로 공연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음악감독이자 대표 박은희가 이끄는 한국페스티발앙상블 제74회 정기연주회가 오는 11월 8일(화) 오후7시30분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열린다. 문학과 음악 시리즈 전 4회를 마치고, 이번에는 '음악과 미술의 만남'을 주제로 준비하는 첫 공연이다. '박은희의 전람회 산책 - 작곡가의 초상화'는 "감히 어떤 화가가 당대 최고의 음악가를 오래 앉혀놓고 초상화를 그릴 수 있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모차르트 손위 동서 요셉 랑게(1751-1831, Joseph Lange)는 알로이지아와 결혼한 배우 겸 아마추어 화가였다. 알로이지아는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의 언니이면서, 청혼을 단번에 거절한 모차르트가 사랑했었던 여인이었다. 그럼에도 모차르트와 랑게는 매우 친한 사이였다. 그림 그리는 일을 포기한 랑게가 비록 미완성으로 남긴 초상화는 오늘날 모차르트와 가장 닮은 그림으로 사랑받고 있다. 

1부 첫곡으로는 클라리넷 김주현, 바이올린 김은식, 김진승, 비올라 김혜용, 첼로 허철이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5중주 A장조 K.581를 연주한다. 조지 거슈윈(1898-1937, George Gershwin)도 뛰어난 재능의 아마추어 화가였다. 평소 친하게 지내며 존경해온 대선배 아놀드 쇤베르크(1874-1951, A.Schönberg)의 초상화를 그렸다. 쇤베르크 또한 러시아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와 각별한 사이였던 보통 수준 이상의 아마추어 화가였다. 

피아노 이민정에 메조소프라노 김지선이 쇤베르크의 카바레 노래 '브레틀 리더 Brettl-Lieder' 8곡 중 갈라테아(Galathea)를 노래한다. 후기 낭만주의 시대를 살았던 쇤베르크는 대중예술을 무시하는 경향에 맞서는 19세기 카바레(cabaret) 운동에 동참했다. 카바레는 18세기 살롱 쇠퇴 이후 춤과 음악과 술과 음식을 제공하며 100년 이상 이어온 공연양식을 말한다. 

옛동료 리야 레핀(1844-1930, Ilya Repin)은 무소르그스키(1839∼1881, M.Mussorgsky)를 알콜중독으로 죽어가는 병원에서 재회했다. 초상화는 그의 외모만이 아니라 형형한 눈에, 고집세고 즉흥적이며 파격적인 기질까지 과감히 그려넣었다. 무소르그스키는 23일 후 저 세상으로 갔다.  

플루트 오병철, 오보에 이현옥, 클라리넷 김주현, 바순 김현준, 혼 김형일이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 10곡 전곡을 무대에 올린다. 화가 친구 빅토르 하르트만의 죽음을 기리는 작품이다. 

프랑스혁명을 기념해 1830년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으로 유명한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1798-1863, Eugène Delacroix)는 1838년 쇼팽이 허공을 바라보는듯 피아노를 연주하고, 옆에 연인 조르주 상드가 감상하는 모습을 그렸다. 어찌된 일인지 쇼팽의 모습은 분리되어 쇼팽의 초상화로 남겨졌다. 

바이올린 정유진, 첼로 허철, 피아노 이민정가 연주하는 쇼팽의 피아노 3중주 g단조 Op.8가 음악회 2부를 장식한다. 

1986년에 창단된 한국페스티발앙상블은 50명의 세대를 아우르는 연주자들로 현악, 관악, 타악기, 건반악기, 성악 등 다양한 실내악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허영인 회장 중대재해처벌법 고발 당해...사면초과 SPC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SPC 계열사 공장에서 또다시 사망사고 발생했다. 최근 3년간 벌써 세 번째다. 현재 형사재판 중인 허영인 SPC 회장의 약속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이번 사망사고에 대해 강력 대응을 주문하고 있고, 고객들의 불매운동 양상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동일한 패턴의 반복되는 사망사고 지난 19일 경기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작업자 A씨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A씨가 기계에 윤활유를 뿌리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A씨 부검을 진행한 뒤 경찰에 “머리, 몸통 등 다발성 골절로 인한 사망으로 보인다”는 1차 소견을 냈다. 시흥경찰서는 공장 관계자 일부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형사 입건해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중이다. 고용노동부 역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근로자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를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정하고 있고, SPC시화공장 역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독자가 대통령에게 추전하는 책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로운 대통령이 읽었으면 하는 책을 회원들에게 직접 추천받는 ‘21대 대통령에게 추천하는 책’ 기획전을 진행한다. 이번 기획전은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맞이해 새 대통령이 책을 통해 국민들과 소통하고 연결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기획됐다. 도서 추천 기간은 6월 15일까지이며, 예스24는 댓글로 추천하고 싶은 책을 소개한 회원 1000명에게 YES포인트 500원을 선물할 예정이다. 5월 20일 기준 현재까지 예스24 회원들이 가장 많이 추천한 도서 1위에는 하버드대 정치학과 교수의 사회정치 분야 역작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가 올랐다. 세계 여러 나라의 사례를 통해 현대 민주주의의 위기 신호를 미리 인식하고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법을 담은 이 책은 2018년 출간된 구간임에도 지난해 12월 이후 역주행하며 다시 사랑받고 있다. 이외에도 △‘공정하다는 착각’(‘사회적 분열을 이해하고 진정한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다’) △‘손자병법:세상의 모든 전략과 전술’(‘고전에서 리더의 모습을 배우고 사회통합과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달라’) △‘다정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대선투표 안하고 여행가겠다”는 정치무관심 층. 그들이 원하는 대통령은?
“요즘 TV뉴스는 아예 안 봅니다. 보면 신경질만 나고 스트레스받는데 그걸 왜 봅니까? 예능프로하고 스포츠 중계만 봅니다. 이번 대선투표요? 찍을 사람이 없어 투표 안 하고 아예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질문을 해 보았다. “아니, 그래도 대통령을 뽑는 선거인데 대선후보 공약도 확인하고 TV토론도 보시고 관련뉴스도 챙겨보면서 누구를 찍을지를 선택하고 투표는 해야 하지 않습니까?” “처음에는 투표를 하려고 했지요. 그런데 국민의힘 후보자 단일화 과정에서 보여준 목불인견(目不忍見)의 상황, 마치 대통령이 된 듯한 야당 후보를 보면 어차피 결론이 난 게임 같아서 투표할 마음이 싹 없어지더라구요.” 청년층들에게도 “이번 대선 투표할 거냐?”고 물어보았다. “대선 투표를 언제 하는데요?” “나라만 잘 살게 해준다면 누가 대통령 되어도 상관없는데 그런 대통령 후보가 없는 것 같아서요.” 6월3일 치러지는 21대 대선 유권자 중 50대(지난해 말 기준 870만6,37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60대(781만8,783명) 노년층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원래 정치에 무관심한 편인 20대 청년층에서조차 이러한 대화를 나누었다는 얘기를 하도 많이 듣다 보니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