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충청권(충북·충남·세종·대전) 최종 등록률

URL복사

(재외국민 및 북한 이탈주민 전형, 수시·정시지원 횟수 제한 없는 5개 특수대, 기능대, 사이버대 제외)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대학별 최종 등록률에서 충청권(충북·충남·세종·대전) 4년제 대학의 등록률은 96.92%로 전국 평균 96.26%보다는 밑돌았지만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방 권역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충청지역 4년제 대학의 총 모집인원은 5만9070명, 등록인원은 5만7249명으로 1821명이 미등록했다.


충청권 4년제 대학 총 38개교 중 99%이상의 등록률을 보인 대학이 22개교인 반면에, 90%도 안되는 대학도 20%인 8개교나 있어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총 1만8625명의 모집인원 중에서 1만4200명이 등록, 4,425명이 미등록해 76.24%의 등록률을 기록했는데 전국 평균 86.90%에 턱없이 모자랐다. 이 같은 등록률은 서울·수도권, 호남·제주권, 부산·울산·경남권, 대구·경북·강원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였고, 지난 2021년과 마찬가지로 충격을 주고있다.


대학유형별, 충청권의 자세한 대학별 등록률은 <표>를 참조하면 된다.

 

 

 

 

 

 

 

 

 

 

 

 

 

 

 

 

 

 

전체 2/3 대학 99% 이상 등록률 보여


■ 충청권 4년제 대학 등록률  


2022학년도 충청권 4년제 대학교 신입생 등록 정원 내외 최종 마감 결과, 모집정원 중 100% 등록률을 달성한 학교는 남서울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을지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다. 지난 2021년 대비 100% 등록률은 보이는 학교가 1개에서 6개교로 늘었다. 이는 대학들의 모집정원 축소, 적극적인 모집활동 등이 자구노력이 등록률 상승의 원인으로 평가된다.


모집인원 기준으로 보면 충청권에서 가장 많은 학생을 모집한 곳은 충남대학교다. 충남대학교가 총 3,605명 모집에 3,598명이 등록해 99.81%의 등록률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백석대학교는 총 2,991명 모집에 2,987명이 등록해 99.87%의 등록률을 보였다. 이어 호서대학교가 모집인원 2,884명 중 2,877명이 등록해 등록률 99.76%를, 공주대학교가 모집인원 2,821명 중 2,819명이 등록해 99.93%를 기록했다.


1000명 이상 모집인원에서의 등록률 기준으로 보면 한남대학교 2,755명 모집에 2,754명이 등록해 99.96%를 달성했고, 서원대학교가 1,623명 모집에 1,622명이 등록해 99.94%를 달성했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주대학교, 충북대학교가 각각 99.93%로 높게 나타났고, 순천향대학교가 2,356명 모집에 2,354명 등록한 99.92%를 보였다. 이어 건국대학교(글로컬)와 백석대학교가 각각 99.87%의 등록률을 나타냈다. 충남대학교는 3,605명 모집에 3,598명이 등록해 99.81%의 등록률을 달성했으며 선문대학교 99.81%, 유원대학교가 99.77%, 호서대학교가 99.76%, 우송대학교 99.75%, 한국교통대학교 99.69%, 한밭대학교 99.68%, 청주대학교 99.62%, 대전대학교가 98.88%의 등록률 순을 기록했다.

 

 

전문대학교 등록률 76.24%로 지방권역별 꼴찌…연암대학교 100%로 선전


■ 충청권 전문대학 등록률


수시·정시로 신입생을 뽑은 충청권 전문대학은 모두 16개교로 이중 연암대학교가 100%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등록률 1위를 달성했다. 충남도립대학교는 99.12%, 한국영상대학교 95.75%,  충북도립대학교 91.46% 등 4개 대학교가 90%대 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모집인원 기준으로 보면 백석문화대학교가 2,231명을 모집해 충청권에서 가장 많았지만 1,491명이 등록해 740명이 미달, 66.83%의 등록률에 그쳤다. 그 다음으로 우송정보대학교가 1,835명 모집 중 76.57%의 등록률을, 대전보건대학교는 1,740명 모집에 81.09%의 등록률을, 대전과학기술대학교는 1,664명 모집에 75.60%의 등록률을 나타내는 등 지난 2021년 대비 전반적으로 모집인원은 줄고, 등록률은 올랐다.


한편 대덕대학교(57.84%), 신성대학교(69.80%), 백석문화대학교(66.83%), 강동대학교(70.30%), 혜전대학교(75.51%), 대전과학기술대학교(75.60%), 충북보건과학대학교(75.85%), 대원대학교(75.93%)를 기록 충청권 전문대학 평균 등록률인 76.24%에 못미치고, 전국 전문대학 평균등록률인 86.9%에도 한참 못미쳐 대학경쟁력 회복이 요원함을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