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외국인 자금 3.9조 빠져나가…중동 자금 대규모 이탈

URL복사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외국인 자금의 한국 '엑소더스'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국을 빠져나가기 시작한 외국 자금의 이탈 규모는 12월 4배 가까이 폭증했다.

특히 최근 유가 하락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중동 지역은 주식과 채권 시장 양쪽에서 대규모 자금을 회수해갔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 외국인 투자자가 상장 주식과 채권을 3조1000억원, 8000억원을 매도하면서 모두 3조9000억원의 자금이 한국 증권 시장에서 빠져나갔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간 외국인 자금의 주식 시장 이탈 규모는 금액 기준으로 전월 대비 162% 폭증했다. 순유입 기조를 보이던 채권 시장에서도 외국인 자금이 돌아서면서 지난해 하반기 최대 규모의 이탈이 발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12월말 기준 외국인 보유 상장 주식은 421조240억원으로 9조1360억원 감소, 시가 총액 비중은 28.6%으로 떨어졌다. 상장 채권도 6830억원 감소한 101조3640억원으로 전체 6.5%인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 시장에서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순매도 규모가 두드러졌다. 사우디는 전월 3083억원을 매도한 데 이어 12월에는 7730억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회수했다.

이어 중국과 호주가 각각 5885억원, 2740억원 순매도로 뒤를 이었다. 반면 미국은 2068억원 매수, 버뮤다와 바하마도 각각 620억원, 399억원 규모의 주식을 사들였다.

채권 시장에서는 순매수가 1조6000억원이었던 반면 만기 상환 등은 2조4000억원을 기록, 외국인 자금이 순유출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전월 1243억원의 자금을 유입시켰던 중동 지역은 12월 1761억원의 순유출로 전환, 대규모 자금을 회수해갔다.

국가별로는 말레이시아가 가장 많은 2702억원, 미국과 싱가포르가 각각 2467억원, 2274억원 순유출 했다. 순유입 상위 국가들로는 중국 4769억원, 노르웨이 2862억원, 스위스 981억원 등이었다.

국가별 채권 보유 규모로는 미국이 18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 중국과 룩셈부르크가 17조4000억원, 12조1000억원의 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