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7.9℃
  • 구름조금강릉 18.3℃
  • 맑음서울 11.4℃
  • 맑음대전 11.1℃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2.6℃
  • 맑음고창 12.1℃
  • 구름조금제주 13.1℃
  • 맑음강화 9.3℃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경제

김택진 대표, 3년만에 엔씨소프트 최대주주 복귀

URL복사

[시사뉴스 이종근 기자]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넥슨에 지분을 매각한지 3년 만에 최대주주 자리를 되찾았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20일 최대주주가 넥슨에서 김택진 대표 외 9인으로 변경됐다고 23일 공시했다. 김 대표 등 9인이 보유한 주식은 267만2054주로 지분율은 12.19%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넥슨은 지난 15일 장 종료 직후 엔씨소프트 주식 330만6897주(지분 15.08%)를 전량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했다.

김 대표는 블록딜에 참여, 넥슨이 내놓은 주식 중 13%에 해당하는 44만주를 매입해 엔씨소프트 지분을 9.99%에서 11.98%로 늘렸다.

나머지 매수자를 놓고 세간의 관심이 모아졌으나 5% 이상 매수자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분을 5% 이상 취득한 개인이나 법인은 영업일 기준 5일 안인 23일까지 공시해야 하지만, 이날 지분 취득 공시는 나오지 않았다. 시장은 주식이 다수 투자자에게 분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넥슨은 엔씨소프트와 함께 미국 유명 게임업체 '일렉트로닉아츠(EA)'를 인수하기 위해 2012년 주당 25만원(8045억원)에 엔씨소프트 지분 14.68%를 매입해 주요 주주가 됐다.

하지만 EA 인수가 실패로 돌아가자 엔씨소프트와 넥슨은 불편한 관계로 돌아섰다. 양사는 공동으로 게임을 개발하면서 협력 관계를 이어가려 했지만, 조직 문화 차이로 무산됐다.

넥슨이 지난 1월 지분 투자 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바꾸면서 경영권 분쟁까지 벌어졌고, 엔씨소프트는 넷마블게임즈를 끌어들여 경영권을 방어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