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정부가 오는 6월까지 벤처 창업붐 확산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과의 간담회에서 이들 기업의 경영상황을 점검하고 정부의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인사말을 통해 "기업의 경영여건이 아직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소비·건설투자를 중심으로 내수가 회복되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를 체질개선을 위한 기회로 삼아 중소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어 "벤처·창업대책은 현 정부 들어 가장 공들였던 분야로 약 4조원의 정책펀드가 조성되는 등 적극적 노력이 있었다"며 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하는 문화가 확산되는 추세에 있는 등 다소간의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신규벤처에 2012년 1조2333억원, 2013년 1조3845억원, 2014년 1조6393억원을 쏟아 부은 바 있으며 대학 창업 동아리수도 2012년 1222개에서 지난해 2949개로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그는 "비교적 가시적 성과가 미흡했던 코스닥이나 코넥스시장도 올들어 활황세를 보이고 있어 벤처·창업 생태계 여건이 어느정도 조성됐다고 생각하지만 벤처의 싹이 데쓰 밸리(death valley)를 넘어 결실을 맺으려면 도약단계의 기업에 자금·인력·판로 등 추가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안정성만 추구하는 보수적 투자가 아닌 모험자본의 활성화가 반드시 선행되야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이 실물경제로 실현될 수 있다"며 "이날 발표한 코넥스활성화 대책에 이어 거래소 구조개혁, 자본시장 효율화 등 관련 대책을 계속 추진하고 이같은 맥락에서 벤처·창업붐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 부총리는 "현재 자영업이 과당경쟁속에서 안정적 생업을 유지하기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난해 마련한 장년층 고용안정 및 자영업자 대책을 차질 없이 진행중이지만 이와는 별도로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 스스로가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스스로 좋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시장을 중심으로 지원할 수 있게 재정을 운용하겠다"고 최부총리는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최 부총리를 비롯해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등이 정부측 대표로 참석했고, 중소기업측에서는 김종남 한성푸드영농조합법인 대표, 소태환 네시삼십분 대표, 이제훈 파버나인 대표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