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17.9℃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9.1℃
  • 맑음울산 18.9℃
  • 맑음광주 16.2℃
  • 맑음부산 16.8℃
  • 맑음고창 14.3℃
  • 맑음제주 16.6℃
  • 맑음강화 14.3℃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5.4℃
  • 맑음강진군 17.1℃
  • 맑음경주시 19.3℃
  • 맑음거제 15.4℃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 해양수산부와 '스마트 해양모빌리티 전문인재 양성사업 2차 실무회의’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는 10일 오후 2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4층 대회의실에서 ‘스마트 해양모빌리티 전문인재 양성사업 2차 실무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난 1월 26일 ‘울산태화호’에서 해양수산부·울산시 선상 실무 회의를 가진 이후 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훈련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두 번째 만남이다.

  

지난 1월 회의에서 해양수산부가 제기한 사항들에 대한 구체적 사업 계획과 추진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울산시,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케이에스에스(KSS)마린, 휴맥스모빌리티, 지오소프트, 울산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등 산․학․연 관계자 25여 명이 참석한다.

  

주요 논의 사항은 ▲지능형(스마트) 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인재양성 계획(스마트선박/관제/방폭/자율운항) ▲혁신기관과 대학 교육 연계 방안 논의 등이다.

  

특히 울산시는 지역 혁신기관들의 기존 시설․장비(인프라)와 연계한 미래 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인재 양성 방안을 설명하고, 해양수산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한다.

  

울산시는 2차 실무회의 결과를 종합해 해양수산부, 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를 방문해 협의 진행하고 내년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 후에는 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교육에 활용할 선박브릿지 모의실험 장치(시뮬레이터)*, 관제체계(시스템) 등 장비가 있는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을 견학한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이번 실무회의는 미래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인재 양성에 대해 지역의 혁신기관과 해운선사, 전문기업, 대학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이다”며 “울산시의 미래해양이동수단(모빌리티) 인재 양성 사업 계획을 참고해 구체적인 인력양성 방안에 대한 사업화를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The city of Ulsan announced that it will hold the 'Smart Marine Mobility Specialist Training Project 2nd Working Meeting' at 2 p.m. on the 4th floor of the Ulsan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This is the second meeting to establish and operate a joint training center to foster human resources for marine mobility after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Ulsan City held an onboard working meeting on January 26 on the 'Ulsan Taehwa'.

  

The meeting was organized to discuss specific business plans and implementation measures in response to issues raised by the MOLIT at the January meeting.

  

More than 25 representatives from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cluding the city of Ulsa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Maritime and Fisheries Training Institute, Korea Maritime and Fisheries Development Institute, Ulsan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Shipbuilding and Marine Plant Research Institute, Korea Shipbuilding and Marine Equipment Research Institute, KSS Marine, Humax Mobility, Geosoft, Ul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Maritime University, Mokpo Marine University, and Uls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attend.

  

The main discussion points include ▲ intelligent (smart) marine transportation (mobil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smart ship/control/explosion-proof/autonomous operation) ▲ discussion on how to link innovation organizations and university education.

  

In particular, Ulsan City explains how to foster future maritime mobility talent in connection with existing facilities and equipment (infrastructure) of local innovation organizations, and requests activ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city of Ulsan plans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the second working meeting and visit central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o conduct consultations and secure government funding to promote new projects next year.

  

After the meeting, they will tour the Ulsan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Center, which has equipment such as a ship bridge simulation device (simulator)* and a control system (system) to be used for marine mobility education.
  

An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aid, "This working meeting is a place for local innovation institutions, shipping companies, specialized companies, and universities to form a consensus on fostering future maritime mobility talent." "We will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of specific manpower training measures by referring to Ulsan's future maritime mobility talent training business plan."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한화 건설부문·한전·LG전자 '직류 생태계 조성' MOU 체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화 건설부문은 한국전력, LG전자와 'DC(직류)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4일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이사, 김동철 한전 사장,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부사장)을 비롯한 3사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기술협약은 AI시대 도래와 데이터센터 증가 등으로 갈수록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전력망 효율화의 핵심인 직류 밸류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추진됐다. 3사는 공동으로 직류배전 확산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기술개발 및 실증에 관해 협조하는 등 협업을 이뤄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한화 건설부문은 직류배전망을 실제 건물에 도입해 실증하고, 사업화 모델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국전력은 전력망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LVDC(저전압 직류 송전기술) 시스템을 바탕으로 직류 전력을 공급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통상 교류(AC)배전 기준으로 개발되어 있는 초대형 냉방기 ‘칠러’를 직류전압에 최적화된 직류형 칠러로 최초 개발해 공급하게 된다. 3사는 향후 ㈜한화 건설부문이 건설할 데이터센터에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