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2.11 (월)

  • 구름많음동두천 8.6℃
  • 흐림강릉 9.8℃
  • 서울 11.3℃
  • 흐림대전 12.3℃
  • 박무대구 11.3℃
  • 울산 14.6℃
  • 광주 13.1℃
  • 부산 13.8℃
  • 흐림고창 13.2℃
  • 흐림제주 15.8℃
  • 흐림강화 8.5℃
  • 구름많음보은 12.8℃
  • 흐림금산 9.9℃
  • 흐림강진군 13.6℃
  • 흐림경주시 9.0℃
  • 흐림거제 11.6℃
기상청 제공

e-biz

한세실업, 2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81%↑… 1분기 이어 또 ‘사상 최대 실적’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한세실업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한세실업(대표이사 김익환, 조희선)은 12일 오전 공시를 통해 2022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022년 2분기 매출액은 6,1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4,113억원 대비 4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1년 2분기 308억원에서 81% 증가한 556억원이라고 밝혔다. 영업이익율은 9.1%다. 

 

한세실업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판매가가 높은 주요 브랜드 수주 증가로 매출이 큰 폭 상승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원재료 및 물류비 상승 등의 악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높은 계약을 집중 수주한 점이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세실업 측은 “새로운 바이어 확보를 비롯해 기존 바이어와의 신규스타일 계약도 최대 실적 달성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분기 평균 환율이 전년 동분기 대비 상승한 것 역시 매출 증대에 기여한 배경으로 보인다. 해당 분기 평균 환율은 전년 동분기 대비 12.3% 상승해 수주 금액의 원화 환산 효과가 더해졌다.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은 “3분기 역시, 기 수주한 계약이 전년대비 10%이상 증가해 성장을 이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특히 공정과정 수직계열화 확대를 통해 수익 구조 개선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세실업은 원단 생산가공 자회사인 C&T VINA 법인을 베트남에 설립하여 2개 공장을 가동 중인데 추가로 제3공장을 신설하고 중미 과테말라에도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이러한 공장 추가 설립을 통해 의류 생산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원단을 생산가공하는 역량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과테말라에는 관련 유관산업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불필요한 물류 이동 과정과 비용 및 소요 시간 등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부회장은 또, “글로벌 ESG 흐름에 맞는 친환경 의류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고품질 재활용 섬유를 생산하는 리커버 텍스타일(Recover Textile)과도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며 “유럽과 미국 대형 의류 브랜드 수주 역시 지속적으로 노력한다”고 강조했다. 

 

한세실업은 독자적으로 구축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HAMS(Hansae Advanced Manufacturing System)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며 지속적으로 수익 구조를 개선해오고 있다. 주력 제품인 니트(Knit) 외에도 단가가 높은 제품군을 확대해 수익율을 계속 증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세실업은 전세계 9개국에서 20개 법인 및 7개 사무소를 운영하며, 전세계 3만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한세실업 수출 물량은 2021년 한 해만 약 4억장에 달한다. GAP, H&M, AEROPOSTALE과 PINK 등 글로벌 유명 의류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미국 대형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타겟’의 자체상표(PB) 상품도 생산 수출하고 있다. 지난 2014년에는 자회사 ‘칼라앤터치’를 설립해 원단 사업을 시작했고, 현재 베트남에 C&T VINA와 C&T G-TECH 생산 법인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