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국내최초 음식문화전문 도서관 설립

URL복사
농심은 국내최초로 ‘음식문화전문 도서관’을 개관하여 음식문화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게 했다.
농심은 고객으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거듭나고자, 기업윤리 규정을 제정하고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및 내부통제시스템을 자체 운영함으로써 신뢰를 높여가고 있다. 특히, 농심은 식품과 관련된 제품 판매를 통해 이룬 성장을 한국 식품산업에 환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농심 음식문화원을 설립했다. ‘음식문화원’은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반을 구축하고자 함이며, 식문화 개선활동을 진행하기 위해서다.
농심은 ‘음식문화원’을 통해 한국음식의 세계화, 전통음식, 바른 식생활, 세계 각 국의 건강식 등 식품 각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자료를 공유해 식품산업 발전과 한국 식품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올 4월에 개관한 ‘음식문화전문 도서관’은 국내 최초 음식관련 도서관으로써 전통식 문화자료부터 전국 라면 전문점 가이드 북까지 7,000여권의 음식문화관련 장서와 206권의 관련 고서(古書)를 보유하고 있다.
농심은 ‘음식문화원’에 2015년까지 80억원을 투입해 전문도서관뿐만 아니라 전문 갤러리, 체험관, 조리공간 등 한국의 음식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음식문화원’은 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 충북대학교와 함께 새샘운동(3SEM;Smart, Smile, Sharing Eating Movement)도 전개하고 있다.
새샘운동은 좋은 것을 먹는 즐거움(Smart), 음식을 먹으며 생기는 즐거움(Smile), 나누어먹는 즐거움(Sharing)의 요소를 알고 ‘건강하고 즐겁게 나누어 먹는 습관’을 키우자는 운동으로 현재 청주시와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역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어 농심은 깨끗한 환경경영을 위한 ‘3Green농심(Green Product;탄소배출 저감화, Green Process;청정생산시스템 운영, Green Business;친환경 포장지 개발)’추진으로 환경보전 운동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또, 각종 불우이웃 및 재해주민돕기, 해피펀드 및 농심 둥지은행 운영, 농심사회봉사단 활동, 사랑나눔콘서트, 유니세프 기금 지원 등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CRS(시장 블록화하는 지역예약시스템)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