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미국 포크 음악의 대부이자 사회운동가 피트 시거(94) 별세

URL복사
미국 포크 음악의 대부이자 사회운동가인 피트 시거(94)가 별세했다. 

시거의 손자인 키타마 케이힐 잭슨은 시거가 27일 오후 9시30분께(현지시간) 뉴욕 프레즈비티리언 병원에서 노환으로 숨을 거뒀다고 밝혔다. 

1919년 뉴욕에서 태어난 고인은 음악교수인 아버지와 바이올리니트스인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어릴 때부터 민요 등에 흥미를 지닌 그는 1938년 하버드대를 중퇴했다. 이후 미국 곳곳을 돌아다니며 민요와 노동자를 위한 노래 수집과 연구에 주력했다. 

1948년 4인 포크그룹 '위버스'에서 활동하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1950년대 포크 전성기를 이끌면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진보 성향이 뚜렷한 시거는 사회운동에도 힘썼다. 1940년대 스페인 내전 당시부터 운동에 나선 시거는 1950년대 노동운동, 1960년대 베트남전 반대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매커시즘 열풍이 일던 1950년대 초반에는 공산주의자 명단에 올라 방송 출연이 정지되기도 했다. 1970년대 이후에도 반전운동 등을 이어갔다. 

2011년 10월에는 뉴욕에서 벌어진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에 참가,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위 셸 오버컴(We Shall Overcome)', '체나, 체나(Tzena, Tzena)', '웨어 해브 올 더 플라워스 건(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온 톱 오브 올드 스모키(On Top of Old Smokey)' 등의 포크 명곡을 불렀다. 
특히 '우리 승리하리라'라는 뜻의 '위 셸 오버컴'은 인권운동 현장에서 시위 참가자들이 즐겨부른 노래로 유명하다. 

한국과도 인연이 있다. 특히 '아리랑'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다. 한국전 참전용사인 시거는 국군과 인민군 병사들이 너나할 것 없이 모두 아리랑을 부르는 모습에 감탄했다. 1957년 발표한 자신의 음반에서 '아리랑'을 노래했다. 

시거는 이후 공연에서 '아리랑'을 부를 때마다 한국과 북한이 하나라는 걸 증명하는 상징적인 노래라는 소개를 덧붙였다. 2012년 말 '아리랑'이 UNESCO 세계인류문화유산에 등재됐을 때 그의 행보가 국내에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밥 딜런(72)을 비롯해 조앤 바에즈(73) 등 1960년대를 풍미한 포크 가수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저항 가요의 시초로 통한다. 김민기(63), 한대수(66) 등 1970년대 활약한 한국 포크송 가수들도 그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 '위 셸 오버컴'은 대학가 시위 현장에서 자주 울려퍼지기도 했다. 

1996년 록&롤 명예의전당에 헌액됐다. 1993년 그래미어워즈에서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이후 1997년 그래미어워즈에서 음반 '피트'로 '최우수 전통 포크 앨범'상을 받는 등 이 시상식에서 수차례 상을 받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미정상회담 25일 확정…李 대통령 워싱턴 방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한미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4일 출국해 미국 현지 시각으로 26일 귀국길에 오른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미에 김혜경 여사도 동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미는 국빈 방문이 아닌 공식 실무방문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5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식 실무 방문으로 보면 될 듯하다. 실질적으로 심도 있는 협의를 갖는 데 초점을 둔 방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앞서 타결된 관세 협상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고 한미동맹과 국방비 증액 문제 등 외교·안보 현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은 한미 정상 간 첫 대면으로 두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 안보 및 경제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며, “굳건한 한미 연합 방어 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 방안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정부는 공동성명을 목표로 막판 의제를 조율 중이다. 공동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