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15.3℃
  • 맑음강릉 16.7℃
  • 구름조금서울 16.7℃
  • 구름조금대전 16.6℃
  • 구름조금대구 18.2℃
  • 맑음울산 16.3℃
  • 구름많음광주 18.9℃
  • 구름많음부산 18.7℃
  • 구름조금고창 17.3℃
  • 구름조금제주 19.7℃
  • 구름조금강화 14.4℃
  • 구름조금보은 16.7℃
  • 구름조금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경제

첨단장비 업계의 히든챔피언을 찾다

URL복사

BGA업계 히든챔피언 이삭전자, 신제품 출시 초읽기

 

히든챔피언이란 독일의 경영학자 헤르만 지몬이 정의한 용어로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각 분야에서 1~3위 또는 1위를 차지하는 기업을 뜻한다. 전 세계적인 장기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타개할 신성장동력으로 히든챔피언 기업들이 주목 받고 있다.

 

국내 첨단장비업계에는 많은 히든챔피언이 있는데, 그 중 BGA업계를 주도하는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끈다. BGA(Ball Grid Array)란 각종 전자기기 및 통신 기기의 소형화, 고기능화를 위해 고안된 차세대 부품이다.

 

국내 BGA업계는 쉽고 간편하게 작업 가능한 IR 방식의 BGA 리웍 시스템이 도입된 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퀵코리아(www.quick-korea.com)라는 브랜드로 알려진 ㈜이삭전자가 만들어낸 쾌거다. BGA REWORK SYSTEM이란 최첨단 수리 장비로 각종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에 들어가는 부품에 불량이 생겼을 때 이를 제거하고 다시 장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삭전자는 IR 방식은 안 된다는 업계의 선입관을 극복하고 IR방식을 BGA 시스템에 도입, 정착시킨 바 있다. 빠른 국내 도입을 위해 기술 영업부 직원들이 현장에 장비를 들고가 직접 시연하는 등 적극적인 영업을 실시하며, 국내 BGA리웍 시장의 인식을 변화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기존 HOT AIR방식(열풍방식)이 일으킨 불량에 고심하던 제조사를 중심으로 서서히 IR 방식BGA 시스템의 우수성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기류현상 및 열 분사량의 불균일이라는 단점을 가진 HOT AIR 방식을 보완한 것이 바로 퀵코리아의 BGA 장비이기 때문이다.

 

IR 방식은 온도설정이 쉽고 간편해 초보자도 큰 어려움 없이 작업할 수 있다. 특히 작업부위 주변에 높은 부품이 없거나 중형, 대형 부품 작업을 할 때 유리하다.

 

도입 10년째, 퀵코리아의 BGA REWORKS SYSTEM은 여전히 BGA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이삭전자 관계자는 최근 중국에서 유통되는 검증 안 된BGA 장비로 인해 제조사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BGA 수리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하소연도 많다. BGA 장비 구매 시 최소 3년 이상 업계에서 검증된 제품인지 반드시 체크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삭전자는 IR 방식 BGA 리웍 시스템 국내도입 10주년을 기념해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작업자 편의성 극대화를 위해 그 동안 출시된 BGA 제품들의 장점만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벤트 기간에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IPC(국제인쇄회로기구) 국제표준 인증 교육인 IPC-7711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관련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ubga.co.kr)나 문의전화(031-479-7727)를 통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여야, 한미 관세협상 국회 동의에 정면충돌..“대상 아냐”vs“헌법에 따라 받아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한미 관세협상 합의와 관련해 국회 비준 동의를 놓고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한미 관세협상 합의 결과가 국회 비준 동의 대상이 아님을, 야권은 헌법에 따라 당연히 국회 비준 동의를 받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원회 의장은 6일 국회에서 개최된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번 한미 관세협상 합의에 대해 “한미 관세협상은 상호신뢰에 기반한 양해각서로 국회 비준 동의 대상은 아니다”라며 “대미투자특별법의 신속한 입법을 통해서 해당 양해각서의 확실한 이행을 담보하면 될 일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에 협조를 구한다”며 “경제와 관련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고 주요 산업의 대외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6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한미 관세협상 합의에 대해 “천문학적인 규모의 외화가 해외로 유출될 수 있는 사안은 국민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중대한 사안이다"라며 "당연히 헌법 제60조에 따라 국회의 비준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헌법 제60조제1항은 “국회는 상호원조 또는 안전보장에 관한 조약, 중요


사회

더보기
서울시의회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 관련 대법 소송서 승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는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에 대해 문화체육부장관이 제기한 의결 무효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6일 조례안 의결이 유효하다고 서울시의회에 승소판결을 했다고 밝혔다. 대법원 1부가 서울시의회의 ‘서울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이 문화재보호법 등을 위배하지 않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서울시의회가 지난해 5월 제정한 ‘서울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는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돼,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국가지정유산 100m이내)을 벗어난 곳에 대한 규제가 사라지게 됐다. 문화재보호조례는 24년 5월 폐지되고 ‘서울특별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로 대체 입법된 바 있다. 서울시의회는 23년 9월 본회의에서 김규남 의원이 대표발의 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안을 가결했다. 서울시의회는 문화재 보호조례 제19조제5항이 상위법인 문화재보호법의 위임이 없는데도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바깥에 대해서도 포괄적·추상적 규제를 가능하도록 한 것은, 문화재 보호와 시민의 삶이 공존·상생하는 도시 환경을 저해하는 과잉 규제라고 판단한 것이다. 서울시의회가 통과시킨 이 조례안을 서울시장이 23년 10월 공포하자, 문화체육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