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대한민국 최초 활 액션

URL복사

최종병기 ‘활’ 캐릭터 포스터 공개!

티저 예고편을 공개하자마자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 1위에 등극하며 화제의 중심에 선 영화 <최종병기 활>이 개성 넘치는 캐릭터 포스터를 공개하며 더욱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2011년 여름 대한민국 극장가를 사로잡을 영화 <최종병기 활>이 한 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캐릭터 포스터 4종을 공개했다.

‘활의 전쟁이 시작된다’는 카피와 조화를 이룬 캐릭터 포스터는 전쟁 포로로 끌려간 자인을 구하기 위해 적의 심장부에 뛰어든 남이와 서군, 그리고 이들을 위협하는 청나라 정예부대(니루)의 수장 쥬신타의 이야기가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

조선 최고의 신궁 ‘남이’ 역할로 변신한 박해일은 누이를 구해야 하는 절박함과 단숨에 적의 숨통을 끊어야 하는 신궁의 날카로움을 한 컷 안에 훌륭하게 표현해 냈다.

박해일이 활시위를 당기는 모습은 거대한 전쟁을 앞둔 영웅의 비장미를 풍기며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남이의 신묘한 활 솜씨로부터 왕자 도르곤과 부하들을 지켜야 하는 청나라의 명궁 ‘쥬신타’는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오가며 압도적인 존재감을 과시하는 류승룡이 분해 카리스마의 정수를 보여준다.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남이’의 존재를 포착하는 듯한 ‘쥬신타’의 캐릭터 포스터에서는 강한 긴장감이 느껴져 이들의 대결이 과연 어떻게 끝날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남이의 유일한 혈육 자인 역은 청순미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문채원이 맡았는데 인생에서 가장 행복해야 할순간, 청나라에 포로로 끌려간 비극적인 운명을 잘 표현했다.

마지막으로 자인의 정혼자 역을 맡은 김무열은 무장의 아들답게 칼을 쥐고 날카로운 눈빛을 빛내며‘ 북방 스러우면서도 멜로적인 감성이 물씬 풍 긴다’는 김한민 감독의 말처럼 자신이 가진 매력을 200% 발휘했다.

이번 캐릭터 포스터는 각 배우들에게서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연기 변신을 예고하며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최종병기 활>은 청나라 정예부대(니루)에게 소중한 누이를 빼앗긴 조선 최고의 신궁이 활 한 자루로 10만 대군의 심장부로 뛰어들어 거대한 활의 전쟁을 시작하는 이야기.

각 캐릭터 별 매력이 물씬 묻어나는 캐릭터 포스터 공개로 더욱 기대감을 모으고 있는 영화 <최종병기 활>은 오는 8월 개봉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