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카카오톡 또 먹통... 원인은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URL복사

오후 3시30분께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전기실 화재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15일 경기도 판교 SK C&C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가 운영하는 주요 서비스가 장애를 겪고 있다. 

 

현재 카카오톡, 카카오택시,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서비스들이 모두 먹통해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 등 다른 입주사 서버들도 먹통이 되는 등 피해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카카오는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 데이터센터에 불이 나 카카오톡 등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장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현재 카카오페이, 카카오택시 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비롯해 포털 사이트 '다음'까지 장애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측은 “세부 장애 범위 등은 파악되지 않아 복구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빠른 복구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카카오톡 모바일, PC 버전 모두 먹통이 되며 사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택시, 포털사이트 다음도 이용이 어려운 상태다.

시스템 장애의 원인은 카카오 서버가 입주한 SK C&C의 데이터센터가 이날 화재사고가 발생했기 때문. 이날 오후 경기도 성남 판교의 SK C&C 데이터센터 전기실에 화재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서버실 전원이 차단되면서 서버들이 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화재는 진압됐지만, 중간에 전기 공급을 중단하는 바람에 카카오 서비스 먹통 상황이 이어지고있다. 화재는 전산실이 아닌 전기실에서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SK C&C 데이터센터 정상화가 언제 이루어질 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카카오 불통 정상화 여부도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성남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사고로 카카오 서비스외에 네이버도 포털 서비스 등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카오톡과 카카오택시, 포털 다음 등 카카오의 서비스들이 오늘 오후 3시 30분경부터 2시간 넘게 먹통되거나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SK C&C 관계자는 "현재 성남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전원이 차단된 구역에는 카카오와 인터넷, 게임업체들의 서버가 입주해 있다"며 "정확한 피해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