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를 이용한 설치작업으로 세계를 사로잡은 전광영(80). 그가 오랜만에 대작을 들고 나타났다.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개인전 ‘집합:공명과 그 사이(Aggregations: Resonance, In between)’를 6년만에 풀어냈다. 이번 전시에서 전광영은 초기 추상회화 ‘빛’시리즈를 비롯해 ‘집합(Aggregation)’ 대형 설치작품, 그리고 힐링 시리즈 등 설치 4점과 평면 16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된 ‘집합’ 연작을 통해 ‘집합’의 변천을 보여준다. 특히 200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올해의 작가’전, 2022년 제59회 베니스 비엔날레 공식 병행전시 ‘재창조된 시간들(Times Reimagined)’에 출품된 작품들도 포함돼 작가의 예술적 성취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전광영은 2003년 스위스 아트바젤 언리미니트(Unlimited) 섹션 초청을 비롯, 2002년과 2018년에 각각 모스크바현대미술관(MMOMA)과 뉴욕 브루클린미술관(Brooklyn Museum)에서 한국인 최초로 개인전을 개최하는 등 해외 전시에 주력해왔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2022년 베니스비엔날레 전시를 소규모로 가져온 느낌으로 ‘리틀 ‘베니스’를 준비
아시아 수묵채색화 연구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가깝고도 먼나라 한국과 중국의 비슷한 시기의 탁월한 수묵채색화를 비교 감상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전시가 열리고 있다. 서울 덕수궁 내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리는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전이다.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과 중국미술관(관장 우웨이산)이 공동기획한 전시로, 두 미술관이 소장한 대표 근현대 수묵채색화를 한 자리에서 조망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국내에서 쉽게 접하기 힘든 중국 근대 회화, 그 중에서도 국보급 작품들이 다수 출품되어 눈여겨 보면 좋다. ‘수묵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전시로, 원래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해 2022년에 개최하기로 했으나, 코로나19로 연기됐다. 올해 한국 전시 후 내년에는 중국으로 순회될 예정이다. 양국 미술관은 각각 대표하는 수묵 예술 작품과 현대 명작을 선별해 한국편과 중국편 각각 2부씩 총 4부로 구성했다. 전시는 전통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양국 수묵 예술의 독자적 발전 과정을 자연스럽게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전시는 양국의 예술적 교류와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는 것은 물론
‘해가 깃든 곳’이라는 뜻을 담은 강화도 길상면의 ‘해든뮤지움’(관장 박춘순)이 동시대 젊은 작가 발굴의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 3년 전부터 릴레이 전시를 열어온데 이어 국내 유망 작가 10인을 초대한 ‘2024 기획전Ⅱ《별이 뜨다》전’을 열고 있다. 복잡한 도시를 떠나 만나게 되는 강화도의 해든뮤지움은 자연과 어우러진 쾌적한 힐링 공간이다. 장인의 손으로 건립된 이곳은 거울로 외관을 마무리해 늘 상대를 비춘다. 지나가는 구름과 하늘, 그 앞에 선 예술품 그리고 너와 나까지. 강화 초지대교, 장흥 제2저수지를 지나 고즈넉한 좁은 숲길을 따라 들어가면 만나는 이곳은 주말 여행객들에게도 반가운 곳이다. 박춘순 관장이 해든뮤지움을 지은 것은 2013년. 개관 이후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 피카소, 샤갈, 프랭크 스텔라, 로이 리히텐슈타인, 로버트 라우센버그, 백남준, 장욱진, 이응로, 김환기, 이우환 등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가들의 작품들로 구성한 특별 기획 전시를 꾸준히 개최해 왔다. 하지만 2021년부터 한국 신진 작가와 유망한 젊은 작가들을 양성하기 시작했다. ‘2024 기획전Ⅱ《별이 뜨다》전’ 역시 그런 기획의 연장선이다. 권혜승·김승규·김지영·류한솔·박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지하 1층에 들어서면 선술집처럼 꾸며진 공간을 만나게 된다. 낙지볶음, 조개탕, 돼지갈비, 동태찌개, 백반 등 메뉴판이 있고, 탁자와 의자 세트에 많은 사람들이 앉아 있다. 그러나 어디에도 주방이나 셰프, 주문자는 보이지 않는다. 이강소 작가가 1973년 명동화랑에서 열었던 첫 개인전 퍼포먼스 작품 ‘소멸-화랑 내 선술집’(1973)을 재현해 놓은 현장이다. 한국현대작가 중 대표작가로 꼽히는 이강소(81) 화백의 작품세계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드문 전시가 국립현대미술관(이하 국현) 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국현이 마련한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전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개념적 실험작업을 시도한 한국 대표 현대미술작가 이강소 화백의 작품 세계 전반을 조명한다. 전시장에는 80대 작가의 청년시절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누드 퍼포먼스를 사진으로 작업한 것을 비롯해, 변화무쌍하고 다채로운 작가의 개념적이면서 실험적인 작품들이 흥미롭다. 전시명 ‘풍래수면시’는 ‘바람이 물을 스칠 때’라는 뜻으로 ‘새로운 세계와 마주침으로써 깨달음을 얻은 의식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송나라 성리학자 소옹(邵雍, 1011~1077)의 시 ‘청야음(淸夜吟
유택렬 탄생 100주년을 맞아 경남도립미술관(관장 박금숙)이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전을 열었다. 이번 전시는 경남의 1세대 추상화가인 유택렬의 예술세계 전반을 재조명하는 한편, 그가 운영한 진해 ‘흑백다방’과 교우했던 이중섭, 전혁림 등 ‘친구 예술가들’을 함께 주목하는 것이 특징이다. 경남이 낳은 훌륭한 작가는 많다. 조각 분야에서는 한국 추상조각의 선구자 김종영(1915~1982)을 비롯해, 문신(1929~1995), 박석원(82), 심문섭(81)이 있고, 회화 부문에는 전혁림(1916~2010)과 유택렬(1924~1999) 등이 있다. 유택렬(劉澤烈)은 경남의 선구적인 추상화가로 알려져 있다. 미술 정규과정을 밟지 않고 오직 독학으로 화업을 전개하며 주로 지역에서 활동했지만, 유택렬의 작업은 1950년대 후반 한국 추상미술의 궤적과 함께한다. 원래 함경남도 북청 출신이다. 박석원(전 홍익대교수)의 스승이기도 한 그는 해방직전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어 진해에서 복무했다. 이것이 진해와의 첫 인연이다. 해방 후 북청으로 귀향했으나 6.25 전쟁 발발 후 흥남철수작전 때 거제도로 월남했다. 1953년 경남 진해에 정착한 후 진해중학교와 진해고등학교 미
‘꽃 중의 왕’이라는 ‘모란’을 비롯해, ‘하트와 ‘문자’ ‘수탉’ 등 현대적 민화를 즐겨 그리는 작가 김용철(75·전 홍익대 회화과 교수)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다. 김용철 작가는 지난 3월 3일까지 약 4개월여에 걸쳐 미국 샌디에이고미술관(SDMA)에서 열린 《생의 찬미》(Korea in Color: A Legacy of Auspicious Images) 전에 김종학, 오윤, 이숙자, 이응노, 이종상 등 34인 작가의 한 사람으로 작품을 출품하고 현장을 다녀왔다. 또 올해로 창사 100주년을 맞은 통인가게(주인 김완규)의 통인화랑(대표 이계선, 1974~)은 5층에서 《김용철: 지금도 모란!(Still Moran!)》전을 성료했다. 미국 샌디에이고미술관 전시 《생의 찬미》 출품작 계열의 작품들을 내걸었다. 전시장엔 〈모란〉을 중심으로 한 작품 24점을 걸었다. 한편 김용철 작가에게 뜻깊은 논문도 발표됐다. 강수미 동덕여대교수 겸 미술평론가는 10월 19일 서울시립미술관 세마홀에서 열린 한국미학예술학회(회장 하선규) 2024년 가을 정기학술대회에서 ‘김용철 창작방법론’ 논문을 발표했다. 광주비엔날레 홍보마케팅부 책임 조사라 씨가 질의자로 나섰다. 단색화,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움과 힘의 근원은 멋진 하모니다. 서로 다른 음색을 가진 각양각색의 다채로운 악기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내는 음악은 ‘천상의 하모니’로 발현된다. 그러나 현실속 하모니는 쉽지 않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관장 원종현 신부)이 하반기 특별기획전으로 마련한 ⟪차이의 미학⟫전은 17인의 작가들이 71점의 작품을 출품해 ‘다름’과 ‘다양성’의 가치를 보여준다. 또한편으로는 우리 안의 타자를 발견하고 편견과 배타성도 깨닫게 한다. 우리 사회가 가장 깊은 편견으로 고통 준 대상은 누구였을까. 사진가 박성태는 <우리 안의 한센인> 연작을 통해 ‘나병환자’로 불리며 사회적 배타와 억압의 세월을 살았던 한센인들을 기록했다. 손가락 마디가 뭉퉁뭉퉁 떨어져나간 두손을 꼭 모으고 기도하는 모습, 절규하듯 기도하는 모습, 손가락 마디가 다 잘려 숟가락 쥐기도 힘든 손으로 밥을 떠먹여주는 모습…. 심한 사회의 편견과 배타, 억압 속에서 버려진 삶을 살아야 했던 그들의 슬픔과 고통, 좌절, 절망이 절절히 느껴진다. 박성태는 2014년부터 지금까지 한센인정착촌인 여수 도성마을에서 한센인들과 함께 기도하고 식사하며 살갑게 지내며 단렌즈로 촬영했다. 작가는 “
한국 전통의 재발견과 현대화를 위해 일생을 바친 석운(石韻) 이희중(李熙中. 1956~2019). 작가이자 교육자의 삶을 산 이희중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하는 첫 추모전《이희중 0426:무한의 시선》이 10월 10일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제2전시실에서 개막했다. 이희중의 유족과 제자, 친구 및 지인들이 어렵사리 뜻을 모아 마련된 이번 전시는 작고 후 5년만에 마련된 첫 추모전시이다. 작가의 대표작 100여점을 내건 이번 전시는 근현대 미술사의 발전에 이바지한 이희중 작가의 작품들을 통해 예술세계를 회고하고 재조명해보는 전시다. 전시 구성은 ‘로컬과 글로벌’ ‘자연과 우주’ ‘풍경과 추상’ ‘1970-1980년대 드로잉과 회화' 등으로 구성되었고, 생전 모습을 담은 영상과 이희중 작가의 삶과 예술을 소개했다. #한국인의 정체성 탐구 작업 지속 생전의 이희중은 “삶이 예술이다”라며 명산대찰 등 한국적 지형을 찾아다니며 선조들과 교감함으로써 풍류를 그렸다. 병중에도 붓을 놓지 않고 유작 800점을 남겼다. 전시제목인 《이희중 0426》은 화가 이희중이 1956년 4월 26일 태어나 2019년 4월 26일 유명을 달리한 기념비적인 의미를 담았다. 이희중은 무속신앙,
“소박하지만 지극히 세련된 달항아리처럼 살고 싶어 달항아리 이미지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 그은 선 (Karma)은 제가 살아온 인생길을 그린 겁니다.” 20여년간 달항아리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그려온 최영욱(60)이 한층 더 비워낸 신작 ‘카르마(Karma)’ 시리즈 28점을 서울 인사동 노화랑에서 발표했다. 조선백자는 순백의 깨끗함, 단아함, 절제미를 지닌다. 최영욱의 신작도 더욱더 비워지고 있다. 이제 그 형태마저 사라져간다. “그동안 달항아리를 돋보이게 하려고 명암과 묘사를 더 했는데 요즘은 군더더기를 빼기 위한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는 작가를 갤러리에서 두차례 만났다. 달항아리로 불리는 조선 백자대호(白磁大壺)는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푸근해진다. 모든 것을 비워낸 듯하면서도 따뜻한 어머니처럼 기품을 지닌 대상이다. 영국 도예 거장 버나드 리치는 조선 백자대호를 구입하면서 “나는 행복을 안고 갑니다”고 했다. 미술품 경매에서도 인기리에 낙찰된다. 달항아리는 보통 흰색이다. 그런데 최영욱의 그림 속 달항아리는 흰빛 속에서도 미세한 컬러감이 더 있다. 섬세하게 푸른빛, 잿빛, 미색 등 다채로운 컬러가 녹아있다. 또 몇 년 전부터 준비해온 검은 달항아
충남 서산은 600년 역사와 문화가 살아숨쉬는 곳이다. 자연 그대로의 드넓은 갯벌과 서해바다의 매력과 비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이곳 서산해미읍성은 사적 116호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읍성이다. 고창읍성, 낙안읍성과 함께 국내 3대 읍성의 하나로 조선 세종3년 1421년 완성된 석성이다. 둘레는 약 1.8km이며 높이는 5m, 총 면적은 196,381m²(약 6만 여 평)의 거대한 성이다. 이곳은 적군의 침입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조에 충청병마절도사와 충무공 이순신이 근무한 장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선 말 천주교도들의 순교 성지로도 유명하다. 1866년 박해 때에는 1천여 명이 이곳에서 처형되었다고 전해진다. 성 내 광장에는 대원군 집정 당시 체포된 천주교도들이 갇혀 있던 감옥터와, 고문을 당하던 회화나무가 있다. #10월초 황금연휴, ‘해미읍성축제’서 ’역사체험 지혜 체험하기 10월초 황금연휴 기간이면 서산해미읍성이 즐거운 축제의 장(場)으로 변모한다. 온가족이 전통도 찾고 축제도 즐길 수 있는 제21회 서산해미읍성축제가 10월 2(수)~5일(토) 충남 서산시와 (재)서산문화재단 주최, 주관으로 펼쳐진다. 올해 서산해미읍성축
추석 후 온가족이 연휴를 즐길만한 이벤트가 뭐가 없을까? 전통도 찾고 가족들과 축제도 즐길 수 있는 일석이조 축제가 오는 10월 2(수)~5일(토) 충남 서산시와 (재)서산문화재단 주최, 주관으로 펼쳐진다. ‘제21회 서산해미읍성축제’는 10월 2일(수) 개막식을 시작으로 나흘간의 대장정을 펼친다. 제21회 서산해미읍성축제’의 주제는‘고성방가(古城放佳) 시즌2’. 성, 해미읍성에서 만나는 지혜문화축제’이다. ‘슬로건은 읍성을 열고 지혜를 만나자’이다. 올해 해미읍성축제는 ‘고성방가’시즌1이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던 점은 수용하면서도, 역사 체험과 지혜 체험, 지역민, 지역 상인의 상생, 해미읍성의 아이덴티티 찾기 등으로 거듭난다. 축성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해미읍성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지혜문화축제를 펼칠 예정. 메인무대·공연·상생·체험·상설·전시 등 6개 분야에 걸쳐 36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읍성 안팎에서 먹거리·볼거리·즐길거리가 넘쳐나는 대축제의 장이 펼쳐질 예정이다. 서산해미읍성축제는 충청남도에서 유일하게 문화체육부가 로컬100에 선정한 축제이다. 로컬 100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의 문화 매력을 찾아
#3회째 '키아프리즈' 폐막 결산은? 세계 정상급 아트페어 프리즈(Frieze)와 국내 최대 아트페어 키아프(Kiaf 한국국제아트페어)가 함께 치러진 ‘키아프리즈(키아프+프리즈)’가 4일 개막 후 7일(프리즈), 8일(키아프) 차례로 폐막했다. 2022년 공동개최 이후 올해로 3회째. 두 페어의 한지붕 내 동거는 5회째로 약속된 상태였고, 이제 그 절반을 돌았다. 올해는 키아프서울에서 22개국 206개(해외 74개) 갤러리가, 프리즈서울은 32개국에서 112개(국내 31개) 갤러리가 참여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330여개, 2022년에는 350여개가 참여한 것에 비하면 갤러리숫자는 줄어들었다. 특히 올해 프리즈서울은 유럽과 미국의 참가화랑이 줄어들었다. 그 빈자리에 조선화랑과 BB&M이 새로 갤러리즈 섹터에 진입했고, 갤러리신라가 마스터스 섹터에 새로 참여했다. 프리즈와 키아프에는 각각 7만여명, 8만2천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작년과 엇비슷한 수치이나 VIP 방문객 수는 증가했다. 특히 부산비엔날레와 광주비엔날레까지 이어진 것이 주효했다. 프리즈는 1회때 피카소, 프란시스 베이컨등 고대의 거장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수백억원대 대가들의 걸작들로 기선
키아프서울과 프리즈서울이 함께 개막한 9월 4일, 어디선가 사과향이 풍기는 것 같아 많은 관람객들이 모였다. 2024키아프서울(KIAF Seoul) 노화랑(대표 노세환) 부스의 윤병락 사과 작품이었다. 사과의 크기는 아주 대형이다. 금방이라도 바닥으로 데구르르 굴러떨어질 듯 하다.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해 8일 끝나는 ‘한국국제아트페어’(2024키아프)에 참가한 노화랑은 솔로 부스에서 윤병락(56)의 대형 사과 회화와 입체 작품 20점을 선보이며 관심을 끌었다. 윤병락의 사과는 지금 막 사과나무에서 따온 듯 신선해 보인다. 빨간 사과, 초록 사과, 노란 사과 등 다채로운 사과 품종이 때론 궤짝째 벽면에 걸리기도 하고, 그중 한 개씩 사과 모양의 캔버스에 담겨 설치되기도 한다. 그 크기도 성인의 얼굴 보다 훨씬 큰 사이즈가 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아예 브론즈에 오일 페인팅한 입체 사과를 만들기도 한다. 윤병락의 사과는 과연 어떤 가치를 띠고 있을까. 그의 사과 작품이 유명하다 보니 서울 인사동에는 윤병락의 사과 작품을 베낀 모사품들이 버젓이 나돌기도 한다. 마치 샤넬을 본딴 가짜 샤넬이 나도는 것처럼. “한때 이 문제로 고민했었다”는 윤병락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