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메르스 겪고도…안전처, ‘C형간염 발병’ 몰랐다

URL복사

질병본부 “공기 전염성 없다”통보 안해 언론보고 알라…“향후 정보보고 뒷북”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재난안전 당국이 C형간염 집단감염 사실을 언론 보도를 접하고서야 질병관리본부 측에 확인 요청을 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겪고서도 정부간 감염병 정보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2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질본 측은 이날 오전 11시37분께 언론에 '한 의료기관 내원자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중'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하지만 3시간 여가 흐른 오후 3시가 다 되도록 국민안전처는 C형감염 집단 발병 사실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안전처에는 현재 보건복지부 직원이 파견돼 있지만 이 직원들도 해당 보도자료가 나간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안전처 관계자는 "질본 측이 공기에 의한 전염성이 없어 사회적 파급이 크지 않은데다 중소형 병원 한 곳에서 발생한 것이어서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고 자체 판단해 우리 측에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재난으로까지 분류되지 않더라도 감염병에 관한 모든 사항을 사전에 공유하기로 질본 측과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안전처는 메르스 사태 후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정책자문위원회 내 특수재난분과에 '감염병팀'을 신설했다.

하지만 지난 10월 건국대 서울캠퍼스 동물생명과학대 건물에서 원인 불명의 폐렴 증상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한 지 11일 만에 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재난안전 당국이 뒷북 대응을 한다는 뭇매를 맞았다.

질본은 이날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다나의원 이용자 18명이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감염자는 해당 의원의 원장 부인을 비롯해 종사자 2명, 환자 15명이다. 이들은 모두 이 병원에서 수액주사(정맥주사)를 투여받았던 환자다. 다행히 환자들은 증세가 없거나 경미한 상태다.

질본은 C형간염 감염자가 더 있을 수도 있다고 판단, 병원이 개설된 2008년 5월 이후 내원자 전원에 개별 안내해 C형간염 감염 여부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C형간염은 잠복기가 최대 150일인데다 병원 종사자도 감염돼 검사 대상을 최대한 넓혔다는 게 질본 측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