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일본 정부는 한반도와 중국 등을 감시하는 정보수집(정찰) 위성을 10기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닛케이 신문이 11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이날 내놓은 2024년도까지의 우주정책 기본방침을 담은 우주기본계획 일정표 개정안을 인용, 위기관리 강화를 위해 정보수집 위성을 현행 4기에서 두 배 이상인 10기로 증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이와는 별도로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는 동중국해 댜오위다오(釣魚島 센카쿠열도) 주변 등의 해양 상황에 대한 위성 감시를 2016년도 전반부터 시험적으로 개시하기로 했다.
정보수집 위성 10기 체제를 구축하면 지구상 어떤 지점이라도 하루에 여러 차례 상공을 지나면서 지상을 감시 촬영할 수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현재 일본은 정보수집 위성으로 맑은 날에만 촬영이 가능한 광학위성, 야간과 악천후 때 이용할 수 있는 레이더 위성 2기씩을 운용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일본은 정보수집 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곧바로 지구로 보내는 데이터 중계위성도 궤도에 올려 영상 입수 시간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중계위성은 2019년도와 2024년도에 1기씩 발사한다.
아울러 일본은 미국의 정찰위성과 정보 공유 체제를 구축해 상시 감시에 나설 방침으로, 해양 감시는 물론 지상 레이더를 사용한 우주공간 감시에 대해서도 미국 전략군과 협력을 확대한다.
개정안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탐지하는 조기경보 위성에 탑재할 수 있는 적외선 레이더 기술도 연구 개발하기로 했다.
일본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등 조기경보 위성이 포착한 정보를 미군에 의존하고 있다.
조기경보 위성을 자위대가 도입할지 여부는 검토 단계에 있지만, 탑재 가능한 적외선 레이더를 개발해 2019년도 발사하는 광학위성에 장착할 방침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