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아시아男농구]잘 싸운 한국, 마지막 1분 못 버티고 중국에 역전패

URL복사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한국 남자농구가 우승 후보 중국을 상대로 멋진 승부를 펼쳤지만 막판 1분을 버티지 못하고 역전패를 당했다.

김동광 감독이 지휘하는 한국 남자농구대표팀은 24일 중국 후난성 창사 CSWC 다윤체육관에서 열린 2015 아시아농구선수권대회 C조 예선 2차전 중국과 경기에서 76-73으로 역전패했다.

경기전 한국의 열세가 예상됐다. 중국은 세대교체 중이지만 NBA 출신 이젠렌(213㎝)을 중심으로 왕저린(214㎝), 저우치(217㎝), 리무하오(218㎝) 등 210㎝ 이상 선수가 4명이나 버티고 있다. 평균 신장 203㎝로 참가팀 중 가장 크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차지하긴 했지만 당시 전력의 핵심이었던 김주성과 오세근, 양희종, 김선형 등이 빠졌다. 이번 대회에 대학생 선수 4명이 포함됐을 정도로 역시나 세대교체 중이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경기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렀다. 한국은 전날 요르단 전과 마찬가지로 양동근, 조성민, 문태영, 이승현, 김종규로 선발 라인업을 가동했다.

1쿼터 중국이 이젠렌의 점프슛으로 포문을 열었다. 한국은 조성민이 2점과 함께 추가 자유투를 성공시키며 맞섰다. 초반 김종규의 덩크슛과 문태영의 득점으로 리드를 잡았다. 여기에 외곽슛까지 터지며 27-14로 크게 앞서며 1쿼터를 마쳤다.

2쿼터 들어서도 한국은 양동근과 조성민의 외곽슛이 불을 뿜으며 44-24로 크게 리드했다. 2쿼터 막판 중국에 내리 9점을 내주긴 했지만 44-30으로 전반을 마감했다.

중국은 한국팀의 더블팁과 변칙적인 수비에 뚫지 못했다. 젊은 선수들이 큰 신장의 중국 선수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몸싸움을 벌이며 리바운드에서도 근소하게 앞섰다.

후반 들어 김종규가 파울 트러블에 걸리며 위기를 맞았다. 이때 조성민이 상대 파울을 얻어내며 슛을 성공시켰다. 김종규가 빠진 골밑을 이종현과 문태영, 이승현이 이를 악물고 막아내며 60-51로 9점차 리드한 채 마지막 4쿼터를 맞았다.

분수령이 된 4쿼터 중국은 높이가 낮아진 한국의 골밑을 집요하게 공략했다. 4쿼터 중반 이후 점수차는 5점으로 줄었다. 중국이 분위기를 가져가면서 이젠렌의 골밑 득점으로 1점차 승부가 됐다. 이종현의 덩크슛으로 3점차 리드를 지켰지만 이젠렌의 자유투와 저우치의 덩크슛으로 1분도 안남은 상황에서 72-71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조성민의 슛이 빗나가고 중국은 궈아룬의 득점으로 3점차 리드를 가져갔다. 한국은 종료 5초전 양동근의 자유투로 1점차로 따라 붙은 뒤 저우치에게 반칙 작전을 펼쳤으나 저우치가 자유투 2개를 모두 성공시키며 중국의 승리로 돌아갔다.

비록 마지막 1분을 버티지 못하고 패했지만 잘 싸운 경기였다. 양동근은 3점슛 3개 포함 24점 10리바운드로 맹활약했고, 조성민(14점)과 이승현(12점)으로 분전했다.

중국은 이젠롄이 20점 11리바운드로 이름값을 했다. 19살에 불과한 저우치(21점 8리바운드)는 승부처에서 잇따라 득점을 성공시키는 등 한국팀의 새로운 경계대상으로 떠올랐다.

한국은 이날 패배로 1승1패가 됐다. 중국은 2승으로 C조 1위를 지켰다.

한국은 25일 싱가폴과 예선 3차전을 갖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보수 ‘빅텐트’ 단일화 성사되나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지난 3일 56.53%의 최종 합산 득표로 한동훈 후보를 누르고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두 유력 주자가 대선 레이스에 올라옴에 따라 이재명 대선 후보에 대한 보수 빅텐트 단일화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3일 56.53%의 득표율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한동훈 후보는 43.47%의 합산 득표율에 그쳤다. 김문수 후보는 수락연설을 통해 “자유 대한민국! 지켜고, 경제, 민생위기 극복하고, 화합하고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은 31명에 대한 탄핵안을 제출했다. 국무총리와 경제부총리, 장관, 감사원장에 방송통신위원장, 검찰총장, 수사검사에 이르기까지, 무차별 줄탄핵을 했다. 자유 민주주의 시장경제, 헌법에 어긋나는 온갖 악법을 만들어 냈다. 예산을 삭감해서 정부를 마비시키고 있다. 국회의원을 동원해서, 방탄국회를 만들었다”며, “도대체, 세계 어느나라 국회가 이런 적이 있나? 역사상 최악의 국회독재가 아닐 수 없다. 국회가 대통령을 끌어내고,

정치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보수 ‘빅텐트’ 단일화 성사되나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지난 3일 56.53%의 최종 합산 득표로 한동훈 후보를 누르고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두 유력 주자가 대선 레이스에 올라옴에 따라 이재명 대선 후보에 대한 보수 빅텐트 단일화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3일 56.53%의 득표율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로 선출됐다. 한동훈 후보는 43.47%의 합산 득표율에 그쳤다. 김문수 후보는 수락연설을 통해 “자유 대한민국! 지켜고, 경제, 민생위기 극복하고, 화합하고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은 31명에 대한 탄핵안을 제출했다. 국무총리와 경제부총리, 장관, 감사원장에 방송통신위원장, 검찰총장, 수사검사에 이르기까지, 무차별 줄탄핵을 했다. 자유 민주주의 시장경제, 헌법에 어긋나는 온갖 악법을 만들어 냈다. 예산을 삭감해서 정부를 마비시키고 있다. 국회의원을 동원해서, 방탄국회를 만들었다”며, “도대체, 세계 어느나라 국회가 이런 적이 있나? 역사상 최악의 국회독재가 아닐 수 없다. 국회가 대통령을 끌어내고,

경제

더보기
내년 7월 DSR 3단계 적용 예정에 대출 문턱 높아지는데…내집 마련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지난해 12월 대통령 탄핵정국부터 오는 6월 조기대선까지 정치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내년 7월에는 대출 규제가 한층 더 강화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적용될 예정이어서 상반기 중 '내 집 마련' 수요를 더 자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1월부터 대체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이후 잠깐 상승기를 맞았으나 확대지정 이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울도 재건축 등 주요 선호단지 위주로 매도 희망가격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고 있으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이후에는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가 짙다는 분석이다. '강남 옆세권'인 경기도 과천과 대통령실 이전 가능성이 제기된 세종만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내 집 마련'을 희망하는 실수요자들의 매입 시기 고민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스트레스 DSR 2단계 적용으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가 올랐고 유주택자의 대출 규제도 강화됐다. 그러나 올해 들어 주요 시중은행들이 주택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이번 대선 ‘어대명’이라는데 ‘나대한’이면 해볼만하다
3일 오후 국민의힘 최종 후보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장관이 선출되면서 그동안 관심을 끌어왔던 국민의힘 후보단일화를 위한 빅텐트 설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덕수 전 총리(대통령권한대행)가 2일 무소속으로 대선출마를 선언하면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여부와 단일화를 한다면 누구를 중심으로 단일화를 해야 하는 것일까? 과연 단일화는 꼭 해야 하는 것인가? 한마디로 ‘그렇다’라는 기류가 대세이다. 왜냐하면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는 선거법 재판 대법원 파기환송으로 사법리스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지지층 40% 내외를 확보하고 있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기 때문에 김문수 후보 혼자로는 도저히 상대가 안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김문수 후보가 확보가능한 집토끼(국힘내부 지지자)득표가 20% 내외라면 범보수, 중도, 무당층까지 싹 끌어모아 빅텐트를 쳐야 ‘어대명’하고 한번 맞붙어 볼만한 게임이 되는 것이다. 김문수 후보도 후보수락연설에서 “어느 누구든 승리를 위해 손 잡을 수 있다”고 밝혀 후보단일화는 기정 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누구를 중심으로 빅텐트를 쳐야 할까? 국힘 최종후보자인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