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종근 기자]포털 뉴스의 심사를 제3기관에 위임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10월 출범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24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규정 합의안'을 발표했다. 지난 5월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을 준비하겠다고 발표한 지 4개월만이다.
이날 설명회는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포털 뉴스의 공정성 논란에 맞물려 개최됐다. 국정감사에서도 포털 뉴스가 뜨거운 이슈가 된 만큼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공개된 합의안에는 평가위원회 참가 단체, 구성 기준, 활동 사항이 포함됐다. 포털 뉴스 제휴사의 퇴출 기준 등의 구체적인 사안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공식 출범하는 10월께 마무리될 전망이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연말부터 정식 활동을 시작한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평가와 심의를 전담하는 평가위원회(상설기구)와 정책과 제도를 전담하는 운영위원회(비상설기구)로 구성된다. 평가위원회는 제휴 심사와 관련된 기준과 절차를 만들고, 그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언론계, 학계, 시민단체에서 총 15단체가 참여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사무국 역할을 한다.
평가위원회는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준비위원회 참여 단체로 참여한다.
이밖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한변호사협회, 한국기자협회, 언론인권센터, 인터넷신문위원회,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한국YWCA연합회 등이 평가위원회에 소속되며 다른 단체가 추가로 들어올 수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외의 포털사가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
위원회는 기관별로 2명씩, 최대 30명의 위원으로 꾸려진다. 평가위원회의 통상적 회의 및 평가 업무는 15명씩(단체별 1인)으로 구성해 운영하며, 각 회의 참가자는 해당 추천 기관에서 결정한다.
평가 독립성을 위해 위원회 신원은 공개하지 않는다. 다만 추천한 기관이나 단체명은 공개할 수 있다. 임기는 1년으로 연임할 수 있다.
심재철 위원장(한국언론학회)은 "평가위원회는 포털 뉴스 제휴사의 진입 및 퇴출 결정에 권한을 행사한다"며 "만일 평가위원회 명단이 알려지면 매체들이 평가위원에 접근해 자신들의 주장을 호소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기사의 선정성과 어뷰징 문제를 낮우는 기능을 하지만, 포털의 책임까지 떠맡는다는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다.
연규선 위원(한국방송협회)은 "건전한 저널리즘을 위해 포털 뉴스 제휴사뿐 아니라 포털의 책임도 함께 강조하겠다"며 "포털에도 개선할 부분을 지적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철 위원장은 "온라인 저널리즘 가치를 훼손하는 사이비 언론, 선정적인 광고와 기사, 기사로 위장한 광고, 기사의 반복 전송 등이 시급히 근절돼야 할 문제라는데 뜻을 모았다"며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우리나라 뉴스생태계 발전에 대승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심재철 위원장(한국언론학회), 연규선 위원(한국방송협회), 허승호 위원(한국신문협회), 김영주 위원(한국언론진흥재단), 김일흥 위원(한국온라인신문협회), 양승욱 위원(한국인터넷신문협회), 강성웅 위원(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