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7℃
  • 구름많음강릉 23.3℃
  • 구름조금서울 19.6℃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19.3℃
  • 맑음울산 21.4℃
  • 맑음광주 19.7℃
  • 맑음부산 19.0℃
  • 맑음고창 20.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20.4℃
  • 맑음강진군 19.2℃
  • 맑음경주시 22.0℃
  • 맑음거제 20.3℃
기상청 제공

국제

버냉키 전 연준 의장 "여성 지폐 도입하려면 해밀턴 유지…잭슨 전 대통령 빼야"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 의장이 미국 지폐의 여성 인물 도안 도입 문제에 대해 미 재무부에 10달러 지폐의 알렉산더 해밀턴 전 재무장관보다 20달러 지폐의 앤드류 잭슨 전 대통령을 버리라고 요구했다.

그는 22일(현지시간) 브루킹스연구소 블로그에 올린 ‘잭, 아니라고 말해주시오’라는 제목의 글에서 “제이콥 루 미 재무장관의 10달러 지폐 여성 인물 도안 교체 계획에 깜짝 놀랐다”며 “여성 인물 도입은 좋은 생각이지만, 해밀턴 전 장관이 희생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 초대 재무장관인 해밀턴 전 장관은 미국 역사상 가장 선견지명이 있는 경제정책 입안자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잭슨 전 대통령(재임 1929~1937년)은 매력적이지 못한 자질만 많은 가난한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잭슨 전 대통령은 미국 중앙은행 설립에 반대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이 블로그에 “미 중앙은행 관점에서 본 내 의견으로는 잭슨 전 대통령은 아마도 자신의 얼굴이 연준이 제작하는 지폐에서 빠져도 괜찮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자신의 블로그에도 해밀턴 전 장관은 미 헌법 제정을 돕고 문제가 많은 13개 주를 하나의 경제 단위로 묶은 것을 도왔다며 극찬했다. 유럽에서 유로를 사용하는 19개국이 당시 미국 상황과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어 버냉키 전 의장이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에게 미국 전기 작가 론 처노가 2004년 쓴 해밀턴 전 장관의 전기를 추천한 바 있다.

지난 주 미 재무부는 1929년부터 제작된 해밀턴 전 장관의 얼굴이 들어 있는 10달러 지폐에 여성 인물을 넣는 계획을 발표했다.

흑인여성인권운동가 해리엇 터브먼, 로자 파크스,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국 대통령의 부인인 엘리노어 루스벨트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재무부는 10달러 지폐에서 해밀턴 전 장관을 없애지는 않고 10달러를 2종으로 제작할 계획이다.

조쉬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보안 기능을 강화한 새 도안을 위해 관계 당국들이 10달러 지폐를 재검토하는 것”이라며 “이 맥락에서 10달러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