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화갤러리아는 서울 시내 면세점 후보지를 여의도 63빌딩으로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내면세점 사업권 획득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63빌딩을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아시아의 쇼핑 명소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회사 측은 면세점 9900㎡ 내외(3000평 내외)의 규모에 63빌딩 내 쇼핑, 엔터테인먼트 및 식음시설 2만6400㎡ 내외(8000평 내외)의 면적을 연계해 63빌딩을 아시아 최고의 컬처 쇼핑 플레이스로 재탄생시킬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시내면세점과의 시너지를 위해 기존 아쿠아리움을 새 단장한다. 시내면세점 중 유일하게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테라스 공간을 조성하는 등 관광 컨텐츠를 보완할 방침이다.
주변 노량진 수산시장과의 상생, 선유도공원, 한강공원으로의 관광객 유입, 국회의사당, IFC몰 등 주변 관광지로 관광 파급 효과를 전달하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또 서울 시내 서남권 지역뿐만 아니라 한국 전체의 관광 진흥 효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63빌딩은 시내면세점 후보지 중 외국인 관광객의 유입 관문인 공항 (인천공항 55㎞, 김포 15㎞)과 가장 근접했다.
한화갤러리아는 시내면세점 사업권을 획득할 경우, '함께멀리'라는 한화그룹의 상생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브랜드의 해외진출 판로 개척을 위한 발판을 제공할 계획이다.
정기적으로 우수 중소기업 브랜드를 선정해 해외면세점과 백화점 바이어에게 소개하고 입점 관련 업무의 자문도 제공할 방침이다.
황용득 한화갤러리아 대표는 "갤러리아가 명품관과 면세점을 통해 쌓아온 노하우와 63빌딩 인프라를 결합, 시내면세점 사업자 경쟁자들 중 가장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하는 컬처 쇼핑 플레이스의 제안으로 시내면세점 사업권을 반드시 획득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관세청은 오는 6월1일까지 신청을 받아 7월 중 서울 시내면세점 사업자를 선정한다. 서울에서 면세점이 추가로 문을 여는 것은 2000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시내 3곳 신규 면세점 중 2곳은 대기업에, 1곳은 중소기업에 돌아간다. 한화갤러리아를 포함해 롯데면세점, HDC신라면세점(현대산업개발-호텔신라), 현대백화점그룹, 신세계그룹, SK네트웍스(워커힐) 등이 대기업 대상 서울 시내면세점 2곳을 놓고 열띤 경합을 벌일 전망이다.
장기 불황과 소비침체로 유통업계 전반이 침체된 가운데, 면세점 시장은 중국 관광객 덕분에 부흥기를 맞았다.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면세점 시장은 2010년 4조5000억원에서 2011년 5조3000억원, 2012년 6조3000억원, 2013년 6조8000억원, 2014년 8조3000억원으로 매년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