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서해안에 10만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풍력, 태양광 발전 단지가 조성된다.
경기도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중부발전(주), 현대중공업(주), 삼부토건(주), 대보건설(주), 금전기업(주)는 21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최홍철 행정부지사와 관계기관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경기 서해안 신재생에너지 공동개발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은 경기 서해안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소유의 농어촌공사 소유의 방수제, 저수지 등의 유휴지를 활용해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미리 대응하고,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확대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한국농어촌공사 소유의 경기지역 방조제 등 유휴지 내에 풍력 200㎽, 태양광 20㎽규모의 전력 생산 단지 조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오는 2013년 말까지 약 6000억원(풍력 5000억원, 태양광 1000억원)이 투입되며, 한국중부발전(주)이 주관하는 특수목적법인이 이 사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일반 가정 8만 4400세대, 10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연간 약 37만6000㎽의 친환경에너지가 생산되며, 연 16만7000톤의 이산화탄소 감축효과도 기대된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을 산림 면적으로 환산하면 여의도 면적의 50배나 되는 숲을 조성하는 효과와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체결식에서 최홍철 행정1부지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에 따라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사업”이라며 “도는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든 행정력을 동원이 이 사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문표 한국농어촌공사 사장도 “방조제 등 공사의 유휴부지가 많다”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적극 추진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비전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도는 이 사업으로, 발전회사는 2012년부터 시행되는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에 대응하고, 농어촌공사는 부지임대료 수입, 참여기업은 산업육성에 따른 기술개발과 수익 증대는 물론, 4900여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 등의 윈윈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향후 10년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매년 15% 이상 고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관련 업계와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를 적극 지원해, 2030년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12% 달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27일 수원, 안산, 양평 등 3개 시군, 한국서부발전(주)과 함께 공공 유휴지를 활용해 5㎽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