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도정에 대한 도민 만족도 조사 결과가 2009년보다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김문수 경기도지사 재선 이후 도민들이 도의 주요 정책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7일 2010년도 도정 성과측정을 위해 지난 6개월간 교통, 복지, 소방 분야 등 전문가 370여명(25개 정책 평가)과 일반도민 등 정책참여자 2만 3385여명(117개 시책 평가)을 대상으로 도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선, 주요 정책 시책에 대한 외부 평가 결과, 정책과 시책 모두 ‘만족 수준(75점)’을 상회했다.
25개 정책에 대한 만족 수준은 80.2점으로 2009년 75.5점보다 상승했으며, 117개 시책 만족도 역시 81.7점으로 2009년의 71.7점보다 10포인트 상승하는 등 민선 4기 때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문가들이 평가한 정책에 대해 경제, 교통건설, 기획감사 등 10대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문화와 교육 분야(88.8점)와 자치소방분야(83.5점)에 대한 만족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해당 정책에 대해 전문가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도시주택 분야가 74.3점, 환경정책분야가 75.9점, 복지정책분야가 76점으로 전체 평균 대비 만족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적극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도민과 정책참여자들이 주로 평가한 시책의 경우, 복지정책(89.8점)과 농정(86.2점) 분야에 대한 만족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해당 시책에 대해 실수요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기획감사(77.3점), 문화교육(78.9점)분야는 만족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시책 실행에 있어 참여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반영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복지정책 분야의 경우 전문가들과 수혜자들의 평가결과(전문가 76점, 일반도민 89.8점)가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어, 수혜대상의 범위 확대와 복지서비스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도 평가담당관실은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정책과 시책의 기획력실행력 등 전반적으로 도의 행정 역량이 한 단계 향상한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도는 이번 도정 성과 측정 결과를 토대로 만족수준이 낮은 정책과 시책에 대해선 해당 실국과 요인 분석을 실시해, 내년 평가에선 각 분야의 행정 역량이 고루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