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3.28 (금)

  • 흐림동두천 5.0℃
  • 흐림강릉 8.1℃
  • 흐림서울 6.7℃
  • 흐림대전 7.3℃
  • 대구 12.2℃
  • 흐림울산 11.1℃
  • 광주 7.0℃
  • 구름많음부산 12.6℃
  • 흐림고창 4.4℃
  • 구름조금제주 8.6℃
  • 흐림강화 5.2℃
  • 흐림보은 7.0℃
  • 흐림금산 7.4℃
  • 흐림강진군 7.2℃
  • 흐림경주시 11.2℃
  • 구름많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정치

김승수 “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저장율 90.8%로 곧 포화상태"

URL복사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율 100% 가득 채워
한빛원전 2030년, 한울원전 2031년 등 6~7년 이후 포화상태
김승수 의원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추진으로 원전 생태계 무너지다시피 해”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고리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시설의 저장률이 90.8%로 포화 직전 상태에 이른 것으로 드러났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국회 예결위원회)이 11일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리원전의 경우 고리 1호기가 100% 저장율을 기록한 가운데, 저장용량 8,038다발 중 현 저장량이 90.8%인 7,297다발로 오는 2028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광에 위치한 한빛원전과 울진 한울원전도 6~7년 이후에는 곧 포화상태에 이른다는 전망도 내놨다. 한빛원전의 경우 오는 2030년이면 포화상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저장용량 9,017다발로 현 저장량은 81.5%인 7,350다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울원전의 경우에도 한울 1호기가 97.2%, 2호기 95.1%, 6호기 93.8%의 저장율을 기록하면서, 저장용량 8,669다발 중 현 저장량이 80.5%인 7,350다발로 오는 2031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승수 의원은 “지난 문재인 정부의 잘못된 신념과 정책으로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면서 우리 원전산업을 거의 고사 직전까지 몰아 원전 생태계가 거의 무너지다시피 했다”며, “이후 국내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곧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고준위 방폐장 확보 대책도 세우지 못하고, 부지가 확보되더라도 저장 및 처분시설을 건설하는데 십수년 이상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4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3 회계연도 결산심사 경제 분야‘ 질의에서도 “EU가 2022년부터 녹색분류체계에 원전을 포함했지만 그 전제조건으로 고준위 방폐장 확보를 지금 내걸고 있고, 이 요건을 충족 못하면 앞서 체코 원전 수출이 지장을 받을 수 있다”며, “관련 법안이 통과되고 아무런 차질없이 진행이 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37년 정도 소요된다고 하는데 그것도 이미 늦었다”고 우려한 바 있다.

 

이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원전 생태계가 지금 상당히 많이 회복이 돼 있다”면서도, 고준위 방폐장 설치에 대해서는 “지금 빨리 서둘러야 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표, 선거법 2심서 무죄...사법리스크 부담 한층 덜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2심에서 무죄를 받으면서 벼랑 끝에서 기사회생했다. 이재명 대표는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며 사법 리스크 부담을 한층 덜게 됐다. 대법원 판결이 남았고 위증교사와 불법 대북송금 사건 등 다른 재판도 진행 중이지만, 대선 가도의 최대 장애물을 넘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1심 실형을 뒤집으면서 대선 후보로서 이 대표의 입지는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현재 독주 체제가 더욱 굳어져 '이재명 대세론'은 야권 내에서 더욱 힘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대표는 이번 무죄 판결로 날개를 달게 됐다. 더욱 공고해진 당내 리더십을 발판 삼아 내부 결속을 다질 전망이다. 대권 주자로서의 행보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에 당력을 집중하겠지만 실용주의를 앞세운 성장 당론을 강조하며 중도 외연 확장 행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민주당의 전통적 정책 기조에서 벗어나 분배보다 성장을 강조하고, 상속세 공제한도 상향과 근로소득세 개편, 대기업 세액공제 확대 등 감세 이슈를 던지고 있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