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7.9℃
  • 구름많음강릉 16.3℃
  • 구름조금서울 11.8℃
  • 구름조금대전 10.8℃
  • 흐림대구 14.9℃
  • 흐림울산 15.8℃
  • 구름많음광주 14.5℃
  • 흐림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1.4℃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9.1℃
  • 구름조금보은 7.6℃
  • 구름많음금산 11.0℃
  • 흐림강진군 15.0℃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4.8℃
기상청 제공

사회

대학 첨단학과 정원 총 1829명…조건없이 수도권 대거 늘어난 것은 20년만

URL복사

교육부, 24년도 일반대 첨단분야 정원조정 결과
서울대 등 10곳…비수도권 12곳 1012명 증원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치르는 대학 입시에서 서울대 등 수도권 4년제 10곳의 첨단분야 학부 입학정원이 817명 늘어난다. 지방대도 1012명이 늘어나 총 1829명이 추가됐다.

 

별다른 조건 없이 수도권 대학 입학정원이 대거 늘어나는 것은 2000년대 이후 20여년 만에 처음이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학년도 일반대학 첨단분야 및 보건의료분야 정원 조정' 심의 결과를 각 대학에 통보한다고 27일 밝혔다.

 

첨단분야 전공은 수도권 대학 10곳 19개 학과 817명, 비수도권은 12곳 31개 학과 1012명을 승인했다.

 

수도권은 ▲서울대 218명 ▲가천대 150명 ▲세종대 145명 ▲성균관대 96명 ▲고려대 56명 ▲동국대 45명 ▲이화여대 30명 ▲서울과기대 30명 ▲연세대 24명 ▲덕성여대 23명 순이다. 가천대(경기 성남시)를 제외하고 모두 본교가 서울에 소재한 학교다.

 

지방대는 ▲경북대 294명 ▲전남대 214명 ▲충북대 151명 ▲충남대 82명 ▲연세대(분교) 75명 ▲전북대 71명 ▲부경대 38명 ▲금오공대 30명 ▲부산대 20명 ▲울산대 17명 ▲안동대 10명 ▲창원대 10명이다. 연세대 분교, 울산대를 제외하고 모두 국립대다.

 

분야별로 반도체가 14개 학과 65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래차·로봇 339명(11개 학과), 에너지·신소재 276명(7개), 바이오 262명(5개), 인공지능 195명(7개), SW·통신 103명(6개) 순으로 승인됐다.

 

이번 첨단분야 학과 학부 정원 증원은 지난해 7월 범정부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의 후속 조치다. 교육부는 오는 2027년까지 전국적으로 반도체 관련 대학 학부 정원 2000명 증원을 추진하고 있다.

 

이어 '대학설립·운영규정'을 개정, 첨단분야 전공에 한해 일정 수 이상의 교수(교원)를 확보하기만 하면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게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지난해 규제 완화 이후 증원을 승인한 것은 처음이다.


수도권 대학 입학정원이 늘어난 것도 이례적이다.

 

특히 가장 많은 정원(218명)을 확보한 서울대는 31년 만에 최대 규모 증원에 성공했다. 서울대 통계연보와 백서 등 자료를 종합하면, 지난 1993학년도에 220명을 증원한 이후 31년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첨단분야 인재를 확대하기 위해 2021~2023학년도에 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려준 일이 있으나 감축하고 남은 편입학 정원을 활용했다.

 

교육부는 "수도권 대학 정원 '순증'(타 정원 감축 없는 증원)은 2000년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수도권 대학들의 총입학정원은 1999년 정해진 11만7145명을 넘을 수 없고, 과거 구조조정으로 감축하고 남은 정원 7975명 안에서 증원이 이뤄졌다.

 

교육부는 첨단분야 증원을 신청한 대학을 권역별로 나눠 평가했으며 비수도권은 신청 대비 77.4%를 승인한 반면 수도권은 14.2%를 선정하는 데 그쳤다. 수도권 대학은 상위 3~4개 학과만 증원을 받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첨단분야) 중급 인력인 학부는 수도권, 지방대 간 균형 유지와 단기간 대규모 증원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증원규모를 적정수준으로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생 수 감소 위기를 맞고 있는 지방대학을 배려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대학 정원 동결과 감축 기조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첨단인재는 다른 나라와 경쟁해야 해 (증원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이날 보건복지부가 증원을 승인한 간호학과 정원 증원 몫 385명, 폐과로 반납된 정원 25명 등 총 410명을 39개 대학에 배분했다.

 

또 타 대학이 반납한 정원을 활용해 약학과 8곳(17명), 작업치료학과 5곳(48명), 치과기공학과 1곳(30명), 임상병리학과 11곳(27명)을 각각 배정했다.

 

아울러 기존 대학 입학정원에서 남는 정원인 '결손 인원', '편입학 정원 감축분'(여석) 총 1040명을 대학 33곳 첨단학과 73개에 배분했다. 수도권 대학이 731명(70.3%)을 가져갔고 반도체가(279명) 최다였다.
 
정원 심사를 통과한 대학은 추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2024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변경을 신청해 다음 달 말까지 승인을 받으면, 늘어난 정원만큼 올해 입시에서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수도권 대표 건축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 자재, 전원주택 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지난 24일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막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진행됐다. 국내 참가기업과 참관객이 만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최고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한 이번 행사는 관련 업계 종사자와 건축주, 인테리어 수요자를 비롯한 참관객에게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약 150개 기업, 420개 부스가 운영되며, 방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상담관도 운영되며, 스마트홈, 친환경 건축 자재 등 미래 트렌드가 집중 조명됐다. 경향하우징페어는 1986년 시작으로 건축 기자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시공-디자인-유지 · 보수 ·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대한민국 건설, 건축,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최초 건축 박람회로 알려져 있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급수/위생재, 냉난방/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인테리어 등 다채로운 품목을 선보였다. 이번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수도권 대표 건축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 자재, 전원주택 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지난 24일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막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진행됐다. 국내 참가기업과 참관객이 만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최고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한 이번 행사는 관련 업계 종사자와 건축주, 인테리어 수요자를 비롯한 참관객에게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약 150개 기업, 420개 부스가 운영되며, 방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상담관도 운영되며, 스마트홈, 친환경 건축 자재 등 미래 트렌드가 집중 조명됐다. 경향하우징페어는 1986년 시작으로 건축 기자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시공-디자인-유지 · 보수 ·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대한민국 건설, 건축,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최초 건축 박람회로 알려져 있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급수/위생재, 냉난방/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인테리어 등 다채로운 품목을 선보였다. 이번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