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8.9℃
  • 흐림강릉 9.2℃
  • 구름조금서울 10.9℃
  • 구름많음대전 13.0℃
  • 구름많음대구 13.3℃
  • 구름조금울산 10.7℃
  • 박무광주 15.2℃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11.4℃
  • 흐림제주 13.7℃
  • 구름많음강화 12.0℃
  • 흐림보은 13.7℃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4.6℃
  • 흐림경주시 11.4℃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사회

올해 추가 모집 대학 180개교...전년보다 23개교 늘어

URL복사

추가 모집 대학 전년 157개 대학서 180개 대학으로 확산
전국 추가 모집 규모 1위 경북 2,889명, 2위 부산 2,144명
"수능 응시생 역대 최저로 예측되는 2024 입시, 변수 가능성 높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올해 대입 추가모집 발생 대학이 전년보다 늘어난 가운데 수시, 정시모집을 통해서도 선발하지 못하는 대학의 수가 전 지역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21일 종로학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23학년도 추가모집 발생 대학은 180개 대학으로 지난해 157개 대학보다 23개 대학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생을 다 채우지 못하면 추가모집을 실시한다.

 

 

전국 17개 시·도별 추가모집 1위는 경북 지역으로 2,889명(전체 추가모집대비 16.6%), 2위는 부산 2,144명(12.3%), 3위 전북 1,842명(10.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은 추가모집 인원이 38명(0.2%)에 그쳐 전국에서 제일 적었고, 대구 91명(0.5%), 인천 99명(0.6%)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 추가모집 발생이 가장 많은 대학은 1위 가톨릭관동대로 723명, 2위는 우석대 570명, 3위 경주대 442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부산 동명대 438명, 충북 극동대 414명, 전남 목포대 341명, 제주 제주국제대 338명, 광주 송원대 294명, 충남 청운대 291명, 대전 목원대 219명, 경남 경남대 187명, 경기 협성대 130명, 울산 울산대 129명, 서울 홍익대 85명, 대구 경북대(캠퍼스 포함) 69명, 인천 인하대 51명, 세종 홍익대(세종) 30명 순으로 집계됐다.

 

종로학원은 추가모집 발생이 많은 대학 상위 50개 대학 중 49개 대학이 모두 지방권 소재 대학이라 밝혔다. 다만 지방권 추가모집 총인원은 1만5579명으로 전년 1만6640명 보다 1061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감소 원인에 대해서는 올해 지방 대학 총 모집 인원 20만 7643명 자체가 전년 21만 2448명보다 4805명 줄어든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방거점 국공립대학 중 추가모집 규모 1위는 제주대 150명, 경상국립대 77명, 경북대(캠퍼스 포함)69명, 전남대 (여수) 각 69명, 강원대(삼척) 35명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반대로 부산대는 한명도 없었고, 전남대 본교는 10명, 강원대 11명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서울권을 보면 지난해 386명으로 12위에서 올해 767명으로 뛰며 17개 시도 중 추가모집 규모 10위를 차지했다. 서울에서 추가모집이 가장 많은 대학은 홍익대(85명)였고, 서경대(62명), 국민대(54명), 광운대(37명), 숭실대·세종대(각 36명), 동국대(35명)가 뒤를 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3학년도 추가모집은 지방권 소재 대학은 모집정원 축소로 다소 완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 수시, 정시를 통한 선발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학이 수도권까지 확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임 대표는 “수능 시행 이래 응시생이 역대 최저로 예측되는 2024학년도 입시에서는 추가모집 등의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2023학년도 추가모집은 오는 2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