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4.5℃
  • 흐림강릉 12.9℃
  • 구름조금서울 7.4℃
  • 구름많음대전 9.4℃
  • 구름많음대구 11.6℃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10.9℃
  • 구름많음부산 12.5℃
  • 구름많음고창 5.3℃
  • 흐림제주 14.1℃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5.8℃
  • 흐림금산 6.3℃
  • 구름많음강진군 9.0℃
  • 구름많음경주시 9.3℃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사회

재벌가 3세, 前경찰청장 아들 등 '마약 적발' 20명 입건…17명 기소

URL복사

남양·효성 창업주 손자 등 20명 입건
연예기획사 대표·가수·일반인도 포함
유학시절 접한 뒤 귀국 후에 못 끊어
집에서 재배하고 태교 중에도 흡연
언론보도 후 줄줄이 자수…추가 기소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제벌3세, 전직 경찰청장 아들 등 사회 유력층 자녀 다수의 마약 혐의가 추가로 적발돼 재판에 넘겨졌다.

26일 서울중앙지검 강력범죄수사부(부장검사 신준호)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대마) 혐의 등으로 전직 경찰청장 아들 김모(45)씨 등 총 20명을 입건해 그 중 17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10명은 구속, 7명은 불구속으로 기소했으며 기소되지 않은 3명은 해외로 도피해 지명수배가 내려진 상태다.

이들은 지난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11월 사이 대마를 매매하거나 소지 또는 흡연한 혐의 등을 받는다.

이른바 '재벌가 3세 마약 스캔들'을 수사한 검찰 조사에 따르면 대마는 주로 남양유업 창업주 고(故) 홍두영 명예회장의 손자 홍모(40)씨를 중심으로 뻗어나갔다.

홍씨는 미국 국적 사업가 이모(38)씨로부터 대마를 구해 지인 등 6명에게 매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마를 매수한 그룹엔 김씨, 효성그룹 창업자 손자 조모(39)씨 JB금융지주 일가 임모(38)씨 등이 포함됐다. 조씨는 홍씨로부터 얻은 대마를 고려제강 창업주 손자 홍모(39)씨에게 무상으로 건넸고, 김씨 역시 또 다른 이들에게 대마를 주거나 판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제강 창업주 손자 홍씨는 또 다른 경로인 한일합섬 창업자 손자 김모(43)씨, 대창기업 회장 아들 이모(36)씨를 통해서도 대마를 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재벌·중견기업 2~3세뿐 아니라  연예기획사 대표, 미국 국적 가수 등 총 20명이 연루된 것으로 보고 있다.

 

3인조 가수 그룹 멤버인 미국 국적의 가수 안모씨(40)는 미성년 자녀와 함께 있는 집에서 대마를 재배하다 적발됐다.

그밖에 일반 회사원이나 직업이 뚜렷이 없는 이들도 포함됐는데, 대부분 해외 유학 시절 대마를 접하고 귀국 후에도 이를 끊지 못해 수년 간 손을 대온 것으로 조사됐다. 임신 중인 아내와 소위 '태교여행' 중 대마를 흡연하거나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집안에서 대마를 재배한 이들도 있다고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진 뒤 전직 경찰청장 아들 김씨 등 4명은 자수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관련자들 통화내역 및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 등을 벌여 자수자 4명을 포함해 8명을 추가로 재판에 넘겼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 과정에서 과거 대마범죄로 단속, 처벌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재범할 정도로 대마의 중독성과 의존성이 심각함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은 "최근 마약이 연령·계층·성별·지역을 불문하고 확산될뿐 아니라 마약 사용에 대한 죄의식도 약해지고 있어 다시 마약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마약범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일합섬 창업자 손자 김씨와 무직자 2명은 해외로 출국해 기소 중지된 상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