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15일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당은 이재명 대표의 주요 브랜드 '기본 시리즈' 구현을 통한 민생 행보를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당 기본사회위원회 마련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기본사회위원장은 이 대표가 직접 맡는 방안이 사실상 확정됐다고 한다. 여러 차례 강조해 온 '기본사회' 구상 현실화를 진두지휘하겠단 것으로 읽힌다.
기본사회위는 향후 민생 행보 주요 축 가운데 하나가 될 전망이다. 장기 전략 측면에서 이 대표 체제를 상징하는 기구로 작동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 대표는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이른바 '기본 시리즈'를 재차 꺼내든 바 있다. 올해를 기본사회 대전환 원년으로 삼겠단 포부도 내보였다.
당시 그는 소득, 주거, 금융 등 분야 보편적 지원 방향을 언급했다. 나아가 여가, 교육, 의료, 교통, 통신 분야 기본 서비스를 점차 확대하겠다고 제안했다.
기본사회위원장을 이 대표가 직접 맡은 배경으론 그가 적임이란 공감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위원장에 자원하진 않았다는 전언도 있다.
민주당은 민생 정책, 입법 측면 행보에도 힘을 실을 전망이다. 앞서 이 대표는 30조원 규모 긴급 프로젝트 등 '민생경제 위기 돌파 3대 해법' 등을 말하기도 했다.
민생 해법의 경우, 정부여당 협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국면 아래 실효성이 적다는 관측도 있다. 반면 일하는 야당이란 존재감 측면에서 유효할 수 있단 평가도 존재한다.
원내에서 민생 입법 관철 기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안보·경제위기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부각, 대안 정당 이미지를 확고히 하려는 시도는 지속될 전망이다.
가깝게는 법안 논의 과정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민생 관련 입법 신속 처리 필요성을 역설하는 장면이 곳곳에서 연출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외교안보 분야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민주당 측이 북한 무인기 사태 등 안보 문제로 인한 민생 위기 등을 지적하면서 공세를 펼칠 소지도 다분하다.
민주당 정부 시절 긍정 평가를 받은 정책을 계승, 발전하려는 시도도 관측된다. 오는 18일 출범 예정인 '사의재' 등을 이런 움직임 일환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사의재는 지난 정부 정책 공과를 재평가하고 과도한 부정 해석은 교정하는 등 역할을 할 전망이다. 사의재엔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장·차관 등 출신 인사들이 동참한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