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 민물고기연구센터, 다슬기 9만패 영양군 방류

URL복사

 

[시사뉴스 김재홍 기자]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 민물고기연구센터에서는 9일 영양군 청기면 토구리 동천 일원에 다슬기 치패(어린 다슬기) 9만패를 방류했다.

 

영양군에 방류된 다슬기는 2022년 민물고기연구센터에서 생산된 건강한 치패들로 내수면 수산자원의 증강 및 수서생태계 복원을 위해 진행됐다.

 

다슬기는 하천의 돌 틈이나 모래 속에 숨어 살며, 바닥의 유기물, 수초 등을 먹고 자라 내수면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하천의 청소부로 불릴 정도로 내수면 수질개선과 생태계 복원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한 다슬기 개체수의 감소와 생활하수, 농약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가 사라지면서 내수면 생태환경은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양군은 수산자원의 증식을 위해 경상북도의 지원으로 지난 8월의 버들치 2만 마리, 잉어 1만 마리, 붕어 1만 마리, 총 4만 마리와 10월의 동자개 치어 2만 마리를 두 차례에 걸쳐 방류한 바 있다.

 

방류 행사에 참석한 청기 골부리축제 추진위원장 안해득씨는“다슬기는 청정영양을 대표하는 반딧불이 유생의 먹이로서 이번 방류를 통하여 내년 개최될 축제는 더욱 풍요롭고 즐길거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경상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박홍열 도의원은 “지속적인 내수면 어자원의 치어 및 치패 방류를 위해 경상북도와 긴밀한 협의를 통하여 방류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힘쓰겠으며, 방류 이후에도 내수면 수산자원과 하천 생태계 보전을 위해 적극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On the 9th, the Freshwater Fish Research Center of the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released 90,000 marsh snails (young marsh snails) in Dongcheon, Toguri, Cheonggi-myeon, Yeongyang-gun.

 

The marsh snails released to Yeongyang-gun are healthy chipae produced by the Freshwater Fish Research Center in 2022 and were carried out to enhance the fishery resources of Naesu-myeon and restore the aquatic ecosystem.

 

Marsh snails hide in rocks or sand in rivers and grow on organic matter and water plants at the bottom,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inland food chain, and are known to help improve water quality and restore ecosystems.

However, as the population of marsh snails has recently decreased due to reckless overfishing and habitat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domestic sewage and pesticides have disappear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nland water is gradually deteriorating.

 

Yeongyang-gun released 20,000 willows, 10,000 carp, 10,000 carp, a total of 40,000 carp, and 20,000 dongjagae in October twice with the support of Gyeongsangbuk-do to increase fishery resources.


Ahn Hae-deuk, chairman of the Cheonggi Golburi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who attended the discharge event, said, "This is the case.Seulgi said, "As the food for the larvae of fireflies representing clean nutrition, the festival to be held next year is expected to be richer and have more things to enjoy through this release."

 

Park Hong-yeol, a provincial member of the Gyeongsangbuk-do Council's Agricultural and Fishery Committee, said, "We will make efforts to promote the discharge project through close consultation with Gyeongsangbuk-do for the continuous discharge of domestic fish resource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