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7 (일)

  • 구름많음동두천 14.1℃
  • 구름많음강릉 21.4℃
  • 구름많음서울 15.1℃
  • 흐림대전 17.8℃
  • 구름많음대구 21.1℃
  • 흐림울산 20.0℃
  • 구름많음광주 18.9℃
  • 흐림부산 17.7℃
  • 흐림고창 15.4℃
  • 제주 16.5℃
  • 구름많음강화 12.7℃
  • 흐림보은 15.6℃
  • 구름많음금산 17.6℃
  • 흐림강진군 17.6℃
  • 흐림경주시 20.8℃
  • 흐림거제 18.3℃
기상청 제공

강영환 칼럼

【강영환 칼럼】 지방대학이 혁신생태계의 거점이 되는 나라

URL복사

[시사뉴스 강영환 칼럼니스트] 서울시는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내 54개 대학에서 32개 캠퍼스타운에 1315개 창업팀이 현재 활동중이며, 올해 1500개 팀 창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7년에 시작된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은 시, 대학, 자치구가 함께 청년 창업가에게 공간을 제공하고 전문가 멘토링 등을 통해 창업 과정을 돕는 사업이다. 캠퍼스타운 창업기업으로 선발되면 입주공간과 창업지원금 제공, 투자유치 기회부여, 창업교육·컨설팅 제공, 판로개척과 마케팅 지원 등 맞춤형 성장지원 패키지가 제공된다.


국토교통부,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019년부터 대학을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입지가 좋은 대학의 유휴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고, 각종 기업시설과 창업지원시설, 주거와 문화 시설을 설치하고, 정부의 다양한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사업이다. 대학이 지닌 입지적 장점과 혁신 역량을 적극 활용하여 산학 협력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취지다. ‘19년에 1차로 강원대, 한남대, 한양대 ERICA를 선정한 데 이어 ’21년에 2차로 경북대, 전남대 2곳을, 올해 들어서도 추가선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이 가장 높은 평가배점인 가운데 지역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하여 비수도권에 균형발전 가점을 부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1년부터 산학융합지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단지 내에 대학캠퍼스와 기업연구관을 조성하여 인력양성, 산학공동 R&D, 고용이 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장맞춤형 산학협력을 수행하는 사업이다. 2021년 현재 17개 지구, 32개 대학(72개 학과), 31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혁신융합사업은 혁신도시 내 기업·대학·연구소가 상호 유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역혁신을 도모하자는 취지에서 대학 및 사립학교법에 의한 학교법인이 국토교통부에 신청하는 사업이다. 선정되면 4년간 구축비, 임차료, 취업비, 창업비 등 33억원을 지원받는다.


지역발전의 역동성을 살리기 위해선 지역혁신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하며, 대학이 중요한 한 축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는 대부분 공감하는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 지자체, 대학, 연구소가 함께 대학을 스타트업과 혁신벤처의 성장거점으로 만들고 양질의 혁신일자리 창출 집적지로 재구성하려는 노력들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기반 및 산학연계기반 자체에서 월등한 차이로 지방은 수도권에 많이 뒤쳐져 있다. 게다가 현재 각 부처별로 유관사업들이 캠퍼스혁신파크사업, 산학융합지구, 혁신융합사업, 그 밖에 다양한 이름의 사업으로 분산되어 진행되고 있다. 지자체와 지방대학이 주도한다는 명제 하에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경제 성장모델을 추진하고, 중앙정부와 지역혁신기관이 이를 뒷받침하여 지역의 자립 성장과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 중심축에 대학이 있어야 한다. 기존의 기업을 이끌어 가는 산업역군이 되던, 창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의 핵이 되던 대학은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요람이 되어야 한다. 지역 주도로 지역의 혁신 기반 환경에 부응하는 지역 고유의 기업과 지식(기술)과 사회혁신의 조합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혁신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지방대학이 이 혁신생태계의 핵심 거점이 될 때 진정한 지방시대는 열릴 것이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수도권 대표 건축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 자재, 전원주택 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지난 24일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막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진행됐다. 국내 참가기업과 참관객이 만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최고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한 이번 행사는 관련 업계 종사자와 건축주, 인테리어 수요자를 비롯한 참관객에게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약 150개 기업, 420개 부스가 운영되며, 방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상담관도 운영되며, 스마트홈, 친환경 건축 자재 등 미래 트렌드가 집중 조명됐다. 경향하우징페어는 1986년 시작으로 건축 기자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시공-디자인-유지 · 보수 ·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대한민국 건설, 건축,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최초 건축 박람회로 알려져 있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급수/위생재, 냉난방/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인테리어 등 다채로운 품목을 선보였다. 이번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수도권 대표 건축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 자재, 전원주택 박람회 '2025 서울경향하우징페어'가 지난 24일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막을 시작으로 27일까지 진행됐다. 국내 참가기업과 참관객이 만나 정보와 기술을 교류하는 최고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한 이번 행사는 관련 업계 종사자와 건축주, 인테리어 수요자를 비롯한 참관객에게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약 150개 기업, 420개 부스가 운영되며, 방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신축과 리모델링을 위한 전문가 상담관도 운영되며, 스마트홈, 친환경 건축 자재 등 미래 트렌드가 집중 조명됐다. 경향하우징페어는 1986년 시작으로 건축 기자재 및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시공-디자인-유지 · 보수 · 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며 대한민국 건설, 건축,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최초 건축 박람회로 알려져 있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에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급수/위생재, 냉난방/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인테리어 등 다채로운 품목을 선보였다. 이번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