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0.02 (월)

  • 구름조금동두천 15.3℃
  • 구름조금강릉 16.3℃
  • 구름조금서울 18.6℃
  • 맑음대전 16.1℃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조금울산 18.0℃
  • 구름많음광주 20.2℃
  • 구름조금부산 19.7℃
  • 흐림고창 17.8℃
  • 구름조금제주 20.5℃
  • 구름많음강화 15.4℃
  • 구름조금보은 13.1℃
  • 구름조금금산 12.9℃
  • 맑음강진군 18.6℃
  • 맑음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자동차

친환경차 선전에 힘입어 車 수출 실적 증가...수출 대수·금액 플러스 전환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지난달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내수 실적이 차량용 반도체 공급망 불안에 1년 전보다 감소했지만, 수출 실적은 친환경차의 선전에 힘입어 두 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4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생산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한 30만6462대로 집계됐다. 다만 전월보다는 1.4% 증가했다.

지난달 생산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부품 공급 차질, 조업일수 1일 감소 등으로 1년 전보다 줄었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는 수출 호조로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한 14만6074대를 생산했다. 같은 기간 기아는 반도체 수급 차질에 17.3% 줄어든 12만6대를 생산했다. 전월 대비로는 0.9% 늘어난 수준이다.

한국지엠은 14% 감소한 1만9051대, 쌍용은 지난해 공장 가동 차질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95% 증가한 8337대를 각각 생산했다. 르노코리아는 XM3 수출 물량 확대에 힘입어 36.5% 증가한 1만2228대를 생산했다.

지난달 내수 판매의 경우 전년 대비 11.1% 쪼그라들고, 전월보다는 3.3% 증가한 14만3167대를 기록했다. 친환경차의 판매 호조에도 출고 적체가 이어지고, 역기저 효과로 1년 전보다 감소했다.

현대와 기아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4%, 2.0% 감소한 5만9415대, 5만95대를 팔았다. 한국지엠과 르노코리아의 내수 판매는 각각 46.1%, 57.4% 줄어든 2951대, 2328대로 집계됐다. 쌍용은 45.8% 증가한 4839대 판매를 기록했다.

판매 실적 5위 안에는 모두 국산차가 이름을 올렸다. 아반떼가 6382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이어 쏘렌토(5551대), 그랜저(5192대), 카니발(5121대), 스포티지(4556대) 순이다.

수입차 판매는 2만3200대로 10.6% 감소했다. 스웨덴계(41.9%) 브랜드를 제외한 모든 수입국별 차량 판매가 줄었기 때문이다. 일본(-16.6%), 미국(-57.3%), 독일(-3.5%), 영국(-15.3%), 프랑스(-39.6%), 이탈리아(-29.7%)산 자동차 판매 실적이 모두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자동차 수출 대수는 전년 대비 12.4% 증가한 19만6780대로 집계됐다. 수출 금액은 6.1% 증가한 44억 달러로 1개월 만에 수출 대수, 금액이 모두 플러스로 전환했다.

수출 대수는 공급망 불안이 심해지는 상황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의 친환경차 판매 호조 덕에 코로나19 발생 이후 역대 2위 월별 실적을 기록했다.

수출 금액도 지난해 3월 실적(44억 달러)과 함께 코로나19 발생 이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업체별로는 기아(7만1000대, -6.9%)가 1년 전보다 저조한 실적을 냈다. 현대(8만7446대, 12.5%), 한국지엠(1만6832대, 5.1%), 쌍용(3301대, 219.6%), 르노코리아(1만7990대, 363.9%) 등은 상대적으로 호실적을 냈다.

친환경차 수출은 전년 대비 40.2% 증가한 4만7953대를 기록했다. 수출액으로 따지면 13억2000만 달러어치로 같은 기간 42.4% 증가했다. 수출 대수와 금액 모두 16개월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달 기준 친환경차 수출은 전체 자동차 수출 대수의 25.3%, 수출액의 30.81%를 차지했다.

차종별로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가 각각 28.1%, 51.8%, 21.7% 늘어난 1만5069대, 2만8851대, 4027대를 수출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57.7% 증가한 3만9624대였다.

산업부는 "친환경차 수출액은 8개월 연속 10억 달러를 상회한다"며 "이는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하이브리드차로부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4.8% 감소한 19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부품 수요가 늘었지만 공급망 불안정에 따른 현지 공장 가동 중단 등이 영향을 미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바이든, 미 상·하원 통과 임시예산안에 서명…정부 폐쇄 위협 해소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미 하원과 상원은 이날 정부 폐쇄 돌입을 불과 몇시간 남기고 임시 예산안을 잇따라 통과시켜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명하도록 송부했었다. 전격적으로 하원과 상원을 통과한 이 임시 예산안은 공화당 의원들의 반대가 점점 거세지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중단시키지만 연방정부의 재난 지원을 160억 달러(21조6800억원) 증액시켜 바이든 행정부의 요구를 충족시켰다. 임시 예산안 통과로 미 정부는 11월17일까지 지출이 가능해졌다.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공화)은 공화당 강경파 의원들이 요구해온 급격한 지출 삭감을 포기하고 임시 예산안 통과를 민주당 의원들에 의존했다. 이는 그의 하원의장직을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상원도 하원과 같은 내용의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켜 초당적 임시 예산안이 최종 확정됐다. 매카시 의장은 표결에 앞서 "우리는 우리의 일을 할 것이며, 성숙하게 행동할 것이다. 연방정부는 계속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1일 자정(현지시간) 전 임시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을 경우 연방 공무원들은 강제 무급휴가를 가야 했고, 200만명이 넘는 현역 및 예비역 군인들이 무보수로 근무해야 했을 것이며, 미 전역의 국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